전체 글606 도로 화물 운송의 탄소 중립 여정 4부 : 미래의 연료 혁명, 합성연료와 eFuels의 가능성과 한계 미래에서 온 연료 : 합성연료와 eFuels바이오연료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솔루션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바로 합성연료와 전자연료(eFuels)인데요. 이들은 기존의 화석연료나 바이오연료와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집니다. 하지만 과연 이들이 운송 부문의 탄소 중립을 실현할 수 있는 진정한 해답일까요? 장점과 함께 극복해야 할 과제들도 만만치 않습니다.합성연료 vs eFuels : 무엇이 다른가?합성연료 (Synthetic Fuels)정의 : 바이오매스를 화학적으로 변환하여 만든 액체연료주요 생산 방식 :피셔-트롭슈 합성 (Fischer-Tropsch Synthesis)수열화학적 액화 (HTL)블랙 리커 가스화대표 연료 :합성 디젤: 5.3 gCO2e/MJ합성 메탄올: 6.2 gCO2e/MJ.. 2025. 6. 13. 도로 화물 운송의 탄소 중립 여정 3부: 바이오연료의 진실, 모든 바이오연료가 친환경적일까? 바이오연료에 대한 오해와 진실"바이오연료는 무조건 친환경적이다." 이런 생각을 가지고 계신다면 다시 한번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바이오연료의 환경 효과는 생각보다 훨씬 복잡하고, 때로는 놀라운 결과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실제로 일부 바이오연료는 화석연료보다 더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요?바이오연료의 탄소 중립성 : 이론과 현실기본 원리 : CO2 균형바이오연료가 친환경적이라고 여겨지는 이유는 'CO2 균형' 개념 때문입니다:식물 성장 단계 : 대기 중 CO2 흡수연료 연소 단계 : CO2 배출결과 : 흡수량 = 배출량 (이론적으로)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이론입니다. 실제로는 생산 과정에서 추가 에너지가 필요하고, 토지 이용 변화 등 복잡한 요인들이 개입하죠.현실의 .. 2025. 6. 13. 도로 화물 운송의 탄소 중립 여정 2부 : 배출량 측정의 과학, 어떻게 정확히 계산할까? 배출량 계산, 왜 이렇게 복잡할까?1부에서 전환 연료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그런데 실제로 이런 연료들이 얼마나 친환경적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답은 바로 정확한 배출량 계산에 있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이 생각보다 복잡한데요. 같은 바이오디젤이라도 어떤 원료로 만들었는지, 어떤 방식으로 생산했는지에 따라 배출량이 천차만별이거든요.4대 배출 계수 산정 기준 살펴보기현재 유럽에서 널리 사용되는 4가지 주요 배출 계수 산정 기준을 소개합니다 :1. JEC WTW 연구 v5 (2020)특징 : 가장 포괄적이고 미래지향적장점 : 현재와 미래의 다양한 연료 경로 모두 포함단점 : 너무 많은 시나리오로 인해 선택이 어려움2. EU 재생에너지 지침 (RED II)특징 : 법적 구속력이 있는 유럽 표준장점 :.. 2025. 6. 13. 도로 화물 운송의 탄소 중립 여정 1부 : 왜 지금 전환 연료가 필요한가? 기후 변화 대응,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2050년 탄소 중립. 이제 전 세계 정부와 기업들이 외치는 공통된 목표입니다. 특히 물류와 운송 부문에서 이 목표는 더욱 절실해졌는데요. 왜냐하면 도로 화물 운송이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생각해보면, 하루아침에 모든 화물차를 전기차로 바꿀 수는 없겠죠? 특히 중대형 화물차의 경우 배터리 기술의 한계와 충전 인프라 부족 등의 문제가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주목받고 있는 것이 바로 '전환 연료(transition fuels)'입니다.전환 연료란 무엇인가?전환 연료는 기존 화석연료에서 완전한 제로 배출 운송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사용되는 저배출 연료를 말합니다. 쉽게 말해, 탄소 중립이라는 최종 목적지로.. 2025. 6. 13. [성공사례] A 물류, ISO14083 도입 후 ESG 평가 등급 상승 들어가며글로벌 물류 산업에서 지속가능성이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하면서, ISO 14083 표준이 새로운 변화의 바람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2023년 3월 도입된 이 국제 표준은 운송 체인 운영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정량화 및 보고를 위한 통합된 방법론을 제시하며, 조기 도입 기업들의 ESG 평가 등급 상승이라는 가시적 성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ISO 14083이란 무엇인가?ISO 14083은 운송 및 물류 산업에서 온실가스 배출량 데이터 수집과 보고를 위한 공통 방법론입니다. 기존의 EN16258이나 최신 방법론인 GLEC Framework 등을 기반으로 하여 전 세계적으로 표준화된 배출량 추적 및 보고 관행을 추진하는 것이 목표입니다.이 표준의 핵심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체 공급망에서 .. 2025. 6. 13. "성공적인 Carbon Footprint 인증 구현 전략 : 물류 ESG를 이끄는 길" "Carbon footprint certification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실제 구현 전략을 탐색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이 글을 통해 ISO 14083, GLEC Framework를 활용한 실질적인 적용법에 대해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물류 ESG 트렌드에 관심 있는 독자 여러분! 오늘은 'carbon footprint certification implementation strategy'에 대해 깊이 있게 다뤄볼 예정입니다. 최근 5개의 뉴스를 참고하여 이 주제를 분석하였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기후 변화 문제. 그 중심에서 우리가 직면한 거대한 과제는 바로 탄소 발자국을 줄이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물류 분야에서도 Carbon Footprin.. 2025. 6. 13. "Transport Carbon Accounting Best Practices : Scope별 탄소배출량 관리와 화주사-물류업체 공동 전략 개발" "이번 포스트에서는 GHG Protocol, SBTi 등 국제 표준에 따른 Scope별 탄소배출량 관리의 중요성과 화주사와 물류업체 간의 공동 전략 수립에 대해 살펴봅니다." 안녕하세요, transport carbon accounting best practices에 대한 최신 정보를 들으러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이번 글에서는 Scope별 탄소배출량 관리 방법, 화주사와 물류업체 간의 효율적인 협력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국제 표준들에 대해 다루고자 합니다. 우선, 화주사와 물류업체 모두가 알아야 할 GHG Protocol에 따른 Scope별 탄소 배출량에 대해 짚어보겠습니다. Scope 1은 기업이 직접적으로 발생시키는 탄소 배출을 가리킵니다. 예를 들면, 물류업체가 직접 운영하는 트럭이나 창고에서 .. 2025. 6. 13. 🌍 이재명 정부의 에너지 정책,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길을 찾다 들어가며요즘 환경과 에너지 문제가 뜨거운 화두죠. 새 정부에서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한다는 소식도 들려오고 있는데요. 인하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신현돈 교수님의 칼럼을 통해 우리나라 에너지 정책의 현주소와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봤습니다.🔗 기후-환경-에너지, 분리할 수 없는 삼총사교수님은 기후변화, 환경, 에너지 문제는 마치 삼총사처럼 하나로 묶여있다고 강조하셨어요. 이 중 하나라도 따로 떼어내서 정책을 세우면 결국 어딘가에서 삐걱거리게 된다는 거죠. 새 정부의 기후에너지부 신설 계획은 이런 맥락에서 보면 반가운 소식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놓쳐서는 안 될 핵심이 있어요. 바로 자원문제입니다.📊 숫자로 보는 우리나라 에너지 현실10년 전과 2024년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 에너지 .. 2025. 6. 12. 5부 : 기업의 SAF 활용 전략과 실제 적용 사례 - 성공적인 도입을 위한 실무 가이드 SAF, 이제 실행의 시대앞선 4편의 시리즈를 통해 SAF(지속 가능한 항공연료)의 개념부터 시장 전망까지 살펴봤습니다. 이제 가장 중요한 질문이 남았습니다: "우리 기업은 어떻게 SAF를 효과적으로 도입하고 활용할 수 있을까요?" 오늘은 실제 기업들의 성공 사례를 분석하고, 산업별 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도입 전략을 제시해드리겠습니다.기업별 SAF 도입 접근법항공사 : 직접 운영자 전략항공사는 SAF의 최종 사용자로서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이해관계자입니다. 단계별 도입 전략1단계 : 파일럿 프로그램 (6개월-1년)특정 노선에서 소규모 SAF 테스트운영상 문제점 파악 및 해결직원 교육 및 시스템 적응2단계 : 확대 적용 (1-3년)주요 허브 공항에서 정기적 SAF 사용공급업체와 중기 계약 체결고객 .. 2025. 6. 12. 4부 : SAF 도입 현황과 미래 전망 - 글로벌 시장 동향과 성장 가능성 분석 SAF 시장의 현주소지속 가능한 항공연료(SAF)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실험실의 아이디어에 불과했던 SAF가 이제는 항공업계 탄소중립의 핵심 솔루션으로 자리잡으며 전 세계적으로 활발한 투자와 정책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오늘은 현재 SAF 시장의 도입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성장 전망과 주요 동인들을 분석해보겠습니다.글로벌 SAF 시장 현황 (2024-2025)시장 규모와 성장률현재 시장 규모 (2024년 기준)글로벌 SAF 생산량 : 연간 약 5억 리터시장 가치: 약 15억 달러전체 항공연료 대비 비중: 약 0.2%성장률 전망연평균 성장률(CAGR) : 68% (2024-2030)2030년 예상 시장 규모 : 150억 달러2050년 예상 시장 규모 : 1,000억 .. 2025. 6. 12. 3부 : SAF 온실가스 배출 계산 방법론과 관리 체계 - 정확한 측정이 성공의 열쇠 왜 정확한 측정이 중요한가?"측정할 수 없으면 관리할 수 없다"는 경영학의 기본 원칙이 SAF(지속 가능한 항공연료) 분야에서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SAF의 환경적 효과를 제대로 입증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이고 표준화된 온실가스 배출 계산 방법론이 필수입니다. 오늘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SAF 온실가스 배출 계산 체계와 실제 적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온실가스 배출 계산의 기본 원칙생애주기 관점(Life Cycle Assessment, LCA)SAF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체 생애주기(Well-to-Wake) 관점에서 계산됩니다.Well-to-Wake 단계별 구성 :Well-to-Tank (WTT): 연료 생산 및 분배원료 재배/수집 → 운송 → 정제 → 분배Tank-to-Wake (TT.. 2025. 6. 12. 2부 : 항공업계의 탄소중립 로드맵과 SAF의 전략적 역할 - 2050 Net Zero를 향한 여정 항공업계가 직면한 기후변화 도전전 세계가 기후변화 대응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항공업계는 특히 주목받는 분야입니다. 항공업계는 글로벌 GDP의 주요 배출원 중 하나로, 2018년 전 세계 항공 운송으로 인한 CO2 배출량이 약 9억 3,000만 톤에 달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항공업계는 가장 적극적으로 탄소중립에 나서고 있는 산업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항공업계의 구체적인 탄소중립 로드맵과 그 중심에 있는 SAF의 역할을 살펴보겠습니다.항공업계 탄소중립 로드맵 총괄ICAO(국제민간항공기구)의 글로벌 전략CORSIA(국제항공 탄소상쇄 및 감축제도)2021년부터 시범 실시, 2027년부터 본격 시행2020년 대비 국제항공 CO2 배출량 증가분을 상쇄참여국 항공사들의 의무적 탄소 상쇄 또는 감축장기 목.. 2025. 6. 12. 이전 1 ··· 38 39 40 41 42 43 44 ··· 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