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제/탄소 감축 및 저감

3부 : SAF 온실가스 배출 계산 방법론과 관리 체계 - 정확한 측정이 성공의 열쇠

by GLEC(글렉) 2025. 6. 12.

왜 정확한 측정이 중요한가?

"측정할 수 없으면 관리할 수 없다"는 경영학의 기본 원칙이 SAF(지속 가능한 항공연료) 분야에서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SAF의 환경적 효과를 제대로 입증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이고 표준화된 온실가스 배출 계산 방법론이 필수입니다.

 

오늘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SAF 온실가스 배출 계산 체계와 실제 적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온실가스 배출 계산의 기본 원칙

생애주기 관점(Life Cycle Assessment, LCA)

SAF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체 생애주기(Well-to-Wake) 관점에서 계산됩니다.

Well-to-Wake 단계별 구성 :

  1. Well-to-Tank (WTT): 연료 생산 및 분배
    • 원료 재배/수집 → 운송 → 정제 → 분배
  2. Tank-to-Wake (TTW) : 연료 연소
    • 항공기 엔진에서의 실제 연소 과정

국제 표준 프레임워크

GLEC Framework 기반

  • 다중 모드 공급망 전반에 걸친 물류 온실가스(GHG) 발자국을 조화롭게 계산하고 보고하는 유일한 글로벌 인식 방법론
  • GLEC는 "GHG 프로토콜 기업" 마크를 가지고 있으며, 국제 표준화 기구(ISO) 표준인 ISO 14083의 핵심 기반

SAF 환경 속성을 위한 관리 체계

소유권 연쇄 시스템의 개념

SAF의 환경적 속성(탄소 감축 효과)이 SAF 생산자에서 최종 사용자인 항공사에게 정확히 전달되려면 명확한 소유권 연쇄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소유권 연쇄의 핵심 원칙 :

  1. 고유성(Uniqueness) : 각 환경 속성은 고유하며 중복 계산되지 않음
  2. 추적가능성(Traceability) : 생산부터 사용까지 전 과정 추적 가능
  3. 투명성(Transparency) : 모든 거래와 이전 과정의 투명한 기록
  4. 검증가능성(Verifiability) : 제3자 검증이 가능한 데이터와 시스템

물리적 분리 vs 속성 분리

물리적 분리(Physical Segregation)

  • SAF가 물리적으로 기존 연료와 분리되어 보관, 운송되는 방식
  • 가장 확실한 방법이지만 비용과 인프라 부담이 큼

속성 분리(Attribute Segregation)

  • 물리적으로는 혼합되지만 환경 속성만 분리하여 거래하는 방식
  • Book & Claim 시스템을 통해 구현
  • 경제적 효율성이 높아 널리 활용

배출 범위 및 카테고리

Scope 1, 2, 3 배출 분류

SAF와 관련된 온실가스 배출은 GHG 프로토콜에 따라 3개 범위로 분류됩니다:

Scope 1 (직접 배출)

  • 회사가 소유하거나 통제하는 자산에서 발생하는 직접 배출
  • 항공사의 경우: 항공기 연료 연소에서 발생하는 배출

Scope 2 (간접 배출)

  • 구매한 전력, 열, 증기 등의 연소에서 발생하는 간접 배출
  • 연료 생산 시설의 전력 사용 등

Scope 3 (기타 간접 배출)

  • 회사의 가치사슬에서 발생하는 모든 기타 간접 배출
  • 원료 생산, 운송, 제조 공정 등

15개 카테고리 세부 분류

Scope 3는 다시 15개의 세부 카테고리로 나뉘며, SAF와 관련된 주요 카테고리는 :

  • 카테고리 3 : 연료 및 에너지 관련 배출
  • 카테고리 4 : 상류 운송 및 분배
  • 카테고리 6 : 출장
  • 카테고리 7 : 통근
  • 카테고리 9 : 하류 운송 및 분배

실제 배출량 계산 방법

기본 계산 공식

배출 강도 계산 :

배출 강도 = 배출된 GHG 질량 / 운송 활동량

운송 활동량 = 운송된 질량 × 운송 거리

배출 강도 = (배출계수 × 연료량) / (운송량 × 거리)

실제 계산 사례

예시 1 : 화물 운송

  • 화주가 항공 운송업체 B를 고용하여 20톤의 화물을 8,000km 운반
  • 항공 엔진이 이 비행에서 화주 A를 위해 160,000L km 활동을 수행
  • 계산: 20 tonnes × 8,000km = 160,000 tonne km

예시 2 : 운송업체 분석

  • 운송업체 B는 또한 Y에서 Z로 가는 비행에서 다른 화주를 위해 화물을 운송
  • 운송업체 B의 항공기는 비행에서 110톤의 화물로 적재되어 총 운송 활동이 880,000톤
  • 배출계수 B의 연료 강도: 톤 km당 0.18L

배출계수 및 데이터

주요 배출계수 (gCO2e/L)

연료 유형배출계수

기존 항공유 3,100
SAF (Fischer-Tropsch) 254-500
SAF (HEFA) 100-1,000

지역별 전력망 배출계수 (gCO2e/kWh)

 

지역배출계수

유럽 평균 350
미국 평균 450
중국 600

SAF 특유의 계산 복잡성

혼합 연료 처리

SAF는 대부분 기존 항공유와 혼합되어 사용되므로, 혼합 비율에 따른 배출 계산이 필요합니다.

혼합 연료 배출 강도 계산 :

배출 강도혼합 = (EFSAF × SAF 부피) + (EF기존 × 기존 연료 부피) / 전체 연료 부피

Book & Claim 시스템 적용

기본 원리 :

  • 물리적 SAF와 환경 속성이 분리되어 거래
  • 항공사는 실제 사용 연료와 관계없이 SAF 속성을 구매 가능
  • 이중 계산 방지를 위한 엄격한 관리 필요

적용 사례 :

  • 공급자 1이 100,000L의 SAF를 생산하고 환경 속성을 공급자 2에게 판매
  • 공급자 2는 물리적으로는 기존 연료를 사용하지만 환경 속성만 구매하여 Scope 1 배출 감축 효과 인정

검증 및 인증 체계

제3자 검증의 중요성

모든 SAF 관련 배출 계산은 독립적인 제3자 검증을 받아야 합니다.

검증 대상 :

  • 원료 조달부터 최종 연소까지 전 과정
  • 배출계수의 정확성
  • 계산 방법론의 적정성
  • 이중 계산 방지 시스템

국제 인증 체계

RSB (Roundtable on Sustainable Biomaterials)

  • 지속 가능한 바이오매스 인증
  • 생애주기 배출량 검증

CORSIA 적격 연료

  • ICAO에서 인정하는 SAF 기준
  • 탄소 강도 기준 충족 필요

ISCC (International Sustainability & Carbon Certification)

  • 유럽 기반의 지속가능성 인증
  • 전체 공급망 추적 시스템

디지털 기술의 활용

블록체인 기반 추적

투명성 확보 :

  • 모든 거래와 이전 과정을 블록체인에 기록
  • 변조 불가능한 데이터 보장
  • 실시간 추적 가능

AI/IoT 기반 모니터링

실시간 데이터 수집 :

  • IoT 센서를 통한 실시간 배출량 모니터링
  • AI 분석을 통한 배출 패턴 예측
  • 이상 상황 즉시 감지

실무 적용을 위한 가이드라인

기업 도입 시 체크리스트

1단계 : 기준선 설정

  • 현재 연료 사용량 및 배출량 정확한 측정
  • Scope 1, 2, 3 배출 범위별 분류
  • 데이터 품질 검증

2단계 : SAF 도입 계획 수립

  • 목표 설정 (혼합 비율, 감축량 등)
  • 공급업체 선정 및 계약
  • 환경 속성 구매 방식 결정

3단계 :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실시간 데이터 수집 체계
  • 정기적 검증 프로세스
  • 보고서 작성 및 공개

주의사항 및 모범 사례

이중 계산 방지 :

  • 동일한 환경 속성을 여러 조직이 중복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
  • 명확한 소유권 이전 기록 유지

데이터 품질 관리 :

  • 정확하고 검증된 배출계수 사용
  • 정기적인 데이터 업데이트
  • 투명한 가정 사항 공개

결론 : 정확한 측정이 만드는 신뢰할 수 있는 SAF 시장

SAF의 온실가스 배출 계산 방법론은 단순한 기술적 절차를 넘어 전체 SAF 시장의 신뢰성을 뒷받침하는 핵심 인프라입니다. 정확하고 투명한 측정 체계가 있어야만 SAF의 환경적 가치가 제대로 인정받고, 시장 참여자들이 믿고 투자할 수 있습니다.

핵심 성공 요소 :

  1. 국제 표준 준수 : GLEC, GHG Protocol 등 검증된 방법론 활용
  2. 전 과정 추적 : 생산부터 사용까지 완전한 추적 가능성 확보
  3. 제3자 검증 : 독립적이고 객관적인 검증 프로세스
  4. 디지털 혁신 : 블록체인, AI/IoT 등 첨단 기술 활용

다음 4부에서는 SAF 도입 현황과 미래 전망에 대해 글로벌 동향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과 구독 부탁드립니다! 📊✈️


📌 관련 시리즈

  • 1부 : 지속 가능한 항공연료(SAF)란 무엇인가?
  • 2부 : 항공업계의 탄소중립 로드맵과 SAF의 역할
  • 4부 : SAF 도입 현황과 미래 전망
  • 5부 : 기업의 SAF 활용 전략과 실제 적용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