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cope37

배출권거래제(ETS) Part 2 : EU ETS 上 안녕하세요 글렉입니다.😊지난 배출권거래제(ETS) 1부에서는 국내 배출권거래제의 개요에 대해 살펴봤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내 배출권거래제가 어떻게 발전해왔고, 현재 모습을 갖추게 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 정책은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ETS)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업체들의 배출량이 국가 총배출량의 약 70%를 차지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역시 2015년부터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해 기업의 탄소 감축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난 20년간 ETS는 어떻게 진화했을까요?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계 최초의 ETS인 EU의 배출권거래제를 추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EU와 한국의 배출권거래제 1~4기 발전 과정을 비교하며,.. 2025. 2. 12.
[글렉 뉴스] 2025년 2월 소식지 Vol.2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2. 7.
배출권거래제(ETS) Part 1 : 국내 배출권거래제 개요 안녕하세요 글렉입니다.😊그동안은 ESG 활동이 선행되고 있는 해외 사례에 대해 주로 살펴봤는데요, 오늘은 국내 규제의 흐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INTRO -2024년 12월 31일, 국무회의에서 '제4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2026~2035)'이 확정됐습니다.이는 향후 10년간 한국의 배출권거래제의 청사진이 확정된 것으로 기업들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 할 사항입니다.첫  포스팅에서는 국내 배출권거래제 개요를 알아보겠습니다. 물류배출 국내표준화, ISO 14083 제정 예비고시 ('25.01.17 제정고시 예정)(출처: 링크)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ISO-14083을 국가표준으로 제정하기 위한 예비고시 중  나라표준인증 사이트를 통해 KS예고고시[고시번호:.. 2025. 2. 6.
지속가능항공유(SAF) Part 3 : 한국의 SAF 제도와 시사점 안녕하세요 글렉입니다.좋은 소식이 있어 어제 뉴스룸에 해당 내용을 업데이트 했는데요. 못 보신 분들을 위해 링크 걸어두겠습니다.정부지원을 받아 바우처 형식으로 저희 솔루션을 사용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 글렉, 데이터바우처 공급기업 2년 연속 선정국제표준 기반 물류 배출량 통합 솔루션 기업 글렉(대표 강덕호,김은우)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  공급기업에 2년 연속 선정되었습glec.tistory.com 오늘 포스팅으로 다시 돌아가자면 SAF 시리즈의 마지막 포스팅입니다.그동안 SAF 전반에 대한 내용과 주요국의 사례에 대해 살펴보았으니, 한국의 움직임과 시사점에 대해 알아보며 마무리하겠습니다. 지속가능항공유(SAF) Par.. 2025. 1. 21.
CBAM Part 6 : 1년도 남지 않은 CBAM 전면시행(26년 1월) 안녕하세요, 글렉입니다. 😊오랜만에 물류 탄소 규제에 대한 글을 업로드하는 것 같네요. 오늘 포스팅의 주제는 CBAM입니다. CBAM에 대한 내용은 이미 연재를 했었는데요.규제 특성상 업데이트 된 가장 최신 버전을 알고있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렇게 꾸준히 업로드하려고 합니다. CBAM Part 5 : 앞으로 나아갈 길, 탄소 배출 측정이 미래의 핵심인 이유1. 현대 비즈니스의 전략적 필수 요소 세계 경제가 기후 변화와 지속 가능성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계속 해결하기 위해 고군분투함에 따라 탄소 배출 측정은 주변 업무에서 핵심 비즈니스 전략glec.tistory.com1. 복습하기 : 유럽연합(EU) CBAM이란?  (1) 배경기후변화 이슈에 대처하고자 EU는 2019년 12월 유럽 그린딜(Europ.. 2025. 1. 16.
지속가능항공유(SAF) Part 2 : 유럽연합(EU)의 ReFuelEU와 주요국 SAF 의무화제도 안녕하세요, 글렉입니다. 1월도 벌써 절반이 지나갔네요. 즐거운 한 해 보내고 계신가요? 이번 포스팅은 SAF, 지속가능항공유 두 번째 이야기입니다.지난 1부에서는 항공 산업의 탄소중립 연대기를 통해 SAF가 왜 주목받고 있는지 살펴보았어요.2부에서는 ESG 선진국인 유럽연합(EU)의 규제와 사례에 대해 살펴보며, 한국에 적용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해보겠습니다.  지속가능항공유(SAF) Part 1 : 항공산업 탄소중립의 열쇠안녕하세요, 글렉입니다. 다시 아티클로 찾아뵙게 되었네요 😊🙌 새로 연재할 시리즈의 주제는 바로 SAF, 지속가능항공유입니다.항공산업은 세계적인 탄소 배출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전체glec.tistory.com1. EU의 SAF 의무화 제도 : ReFuelEU (리퓨얼EU) (1.. 2025. 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