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ope329 CBAM 대응 로드맵 - 물류기업이 지금 당장 해야 할 일들 안녕하세요 물류&운송산업 탄소배출량 측정 전문기업 글렉입니다. 지난 편에서 물류업계의 CBAM 대응 현황을 살펴보니 정말 심각했죠? 하지만 문제를 파악했으니 이제 해결책을 찾아야 합니다.오늘은 물류기업이 CBAM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해드리겠습니다. 복잡해 보이지만 차근차근 따라하시면 됩니다.Phase 1: 현황 파악 및 기초 준비 (즉시~3개월)우리 회사 CBAM 영향도 진단첫 번째 할 일은 정확한 현황 파악입니다. EU 수출 화물 중 CBAM 대상 품목 비율을 조사하고, 주요 거래처의 EU 수출 현황을 파악해야 합니다. 연간 CBAM 관련 물동량을 산출하고, 예상 영향도를 매출 기준으로 환산해보세요. CBAM 대상 품목을 체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철강류는 HS코드.. 2025. 6. 20. 물류업계 CBAM 대응 현황 진단 - 우리는 어디까지 왔나? 안녕하세요 물류&운송산업 탄소배출량 측정 전문기업 글렉입니다. 지난 편에서 CBAM의 기본 개념과 물류업계에 미칠 영향을 살펴봤는데요, 이번에는 좀 더 현실적인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과연 우리 물류업계는 2026년 CBAM 본격 시행에 얼마나 준비되어 있을까요? 솔직한 현실 진단, 지금 시작합니다.충격적인 현실 : 78.3%가 CBAM을 모른다중소기업중앙회가 국내 300개 제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는 충격적이었습니다. 무려 78.3%의 기업이 CBAM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고 있었어요. 더 심각한 것은 EU 수출 실적이 있거나 수출 계획이 있는 기업 142개사 중 54.9%가 'CBAM에 대한 특별한 대응계획이 없다'고 답했다는 점입니다. 이는 물류업계도 마찬가지입니다. CBAM 대상.. 2025. 6. 20. 2026년 CBAM 본격 시행, 물류업계가 알아야 할 모든 것 안녕하세요 물류&운송산업 탄소배출량 측정 전문기업 글렉입니다. 2026년, 물류업계에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불어옵니다.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본격 시행이 바로 그것인데요. 이는 단순한 환경 규제를 넘어 글로벌 물류업계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중대한 전환점입니다.CBAM, 도대체 뭔가요?CBAM(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은 '씨밤'으로 읽으며, 우리말로는 탄소국경조정제도입니다. 쉽게 말해, EU로 수입되는 제품의 탄소배출량에 따라 추가 비용을 부과하는 제도예요. EU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자국 내 기업들에게 탄소배출권 구매를 의무화했는데, 이로 인해 EU 기업들이 탄소 규제가 느슨한 국가로 생산시설을 이전하거나, 값싼 수입품에 밀리는 '탄소 누출.. 2025. 6. 20. 폐기물부터 투자까지! Scope3 다운스트림 카테고리 9-15 실전 가이드 안녕하세요 물류&운송산업 탄소배출량 측정 전문기업 글렉입니다. 😊 지난 편에서 업스트림 카테고리를 완전 정복했다면, 이번에는 다운스트림 카테고리 7가지를 속시원하게 파헤쳐보겠습니다! 제품이 우리 손을 떠난 후 최종 소비자에게 도달하고, 사용되고, 폐기되기까지의 모든 여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이 바로 다운스트림의 영역이에요. 🌿 특히 자동차, 전자제품처럼 사용 단계에서 에너지를 소비하는 제품을 만드는 기업이라면 다운스트림이 전체 Scope 3의 80% 이상을 차지할 수도 있어요! 📱🚗다운스트림이란? 제품 판매 이후의 모든 여정다운스트림은 "판매된 재화와 서비스와 관련된 간접 온실가스 배출"로 정의됩니다. 쉽게 말해 우리가 만든 제품이 고객에게 팔린 후 벌어지는 모든 일들과 관련된 탄소배출량이죠! .. 2025. 6. 19. Scope 3 Category 4가 뭐길래? 운송배출 계산이 이렇게 복잡한 이유 안녕하세요 물류&운송산업 탄소배출량 측정 전문기업 글렉입니다. 최근 많은 기업들이 ESG 경영과 탄소중립을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 측정에 나서고 있습니다. 그런데 막상 측정을 시작하면 가장 먼저 마주치는 벽이 바로 Scope 3 Category 4입니다. "업스트림 운송 및 배송"이라는 이 카테고리가 왜 이렇게 계산하기 어려운 건지, 오늘부터 5편에 걸쳐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Scope 3 Category 4란 정확히 무엇인가?Scope 3 Category 4는 GHG 프로토콜에서 정의하는 15개 Scope 3 카테고리 중 하나로, "업스트림 운송 및 배송(Upstream Transportation and Distribution)"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원재료나 부품이 공급업체에서 여러분의 회사로 오는.. 2025. 6. 19. "ISO14083 vs GHG Protocol : 기술적 차이점 완벽 분석!" 서론 : 정밀한 탄소배출량 측정의 새로운 전환점글로벌 물류 산업이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3%를 차지하는 현재, 정확하고 표준화된 탄소배출량 측정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2023년 3월 ISO가 발표한 ISO 14083은 기존의 GHG Protocol을 보완하며, 특히 운송 및 물류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많은 기업들이 여전히 GHG Protocol에 의존하고 있지만, 운송 체인의 복잡성을 정확히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ISO 14083은 보다 정밀하고 실무적인 접근 방식을 제시하며, 탄소배출량 측정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각 표준의 개요GHG Protocol : 전통적 접근법의 한계GHG Protocol은 1998년부터.. 2025. 6. 11.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