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제/탄소 감축 및 저감

2부 : 항공업계의 탄소중립 로드맵과 SAF의 전략적 역할 - 2050 Net Zero를 향한 여정

by GLEC(글렉) 2025. 6. 12.

항공업계가 직면한 기후변화 도전

전 세계가 기후변화 대응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항공업계는 특히 주목받는 분야입니다. 항공업계는 글로벌 GDP의 주요 배출원 중 하나로, 2018년 전 세계 항공 운송으로 인한 CO2 배출량이 약 9억 3,000만 톤에 달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항공업계는 가장 적극적으로 탄소중립에 나서고 있는 산업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항공업계의 구체적인 탄소중립 로드맵과 그 중심에 있는 SAF의 역할을 살펴보겠습니다.


항공업계 탄소중립 로드맵 총괄

ICAO(국제민간항공기구)의 글로벌 전략

CORSIA(국제항공 탄소상쇄 및 감축제도)

  • 2021년부터 시범 실시, 2027년부터 본격 시행
  • 2020년 대비 국제항공 CO2 배출량 증가분을 상쇄
  • 참여국 항공사들의 의무적 탄소 상쇄 또는 감축

장기 목표 설정

  •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 (2022년 제41차 ICAO 총회 결의)
  • 단계별 중간 목표 설정을 통한 체계적 접근

IATA의 4단계 전략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4단계 통합 전략을 제시했습니다:

  1. 항공기 기술 개선 (12% 기여)
    • 차세대 항공기 엔진 개발
    • 경량화 소재 적용
    • 공기역학적 설계 최적화
  2. 운항 효율성 향상 (6% 기여)
    • 항로 최적화
    • 연료 효율적 운항 절차
    • 공항 지상 운영 개선
  3. 지속 가능한 항공연료(SAF) (65% 기여)
    •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
    • 2030년까지 연간 330억 리터 목표
    • 다양한 원료와 생산 기술 개발
  4. 탄소 포집 및 저장기술 (19% 기여)
    •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 Storage)
    • 직접 공기 포집(DAC) 기술
    • 산림 복원 프로젝트

SAF가 탄소중립에서 차지하는 핵심 역할

65%의 탄소 감축 책임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SAF는 항공업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의 65%를 책임지는 핵심 솔루션입니다. 이는 다른 어떤 기술보다도 중요한 역할을 의미합니다.

 

SAF의 독보적 위치 :

  • 현재 기술로 즉시 적용 가능한 유일한 대규모 솔루션
  • 기존 항공기와 인프라 그대로 활용 가능
  • 장거리 항공편에도 제약 없이 적용

SAF 사용량 확대 로드맵

단계별 목표 :

2025년 목표

  • 글로벌 SAF 생산량 : 연간 20억 리터
  • 전체 항공연료 대비 혼합 비율 : 2%

2030년 중간 목표

  • 글로벌 SAF 생산량 : 연간 330억 리터
  • 전체 항공연료 대비 혼합 비율: 10%
  • 생애주기 온실가스 배출 50% 감축

2050년 최종 목표

  • SAF를 통한 탄소 배출 65% 감축
  • 완전한 탄소중립 항공 운송 실현

지역별 SAF 정책과 규제 동향

유럽연합(EU)의 선도적 역할

ReFuelEU Aviation 이니셔티브

  • 2025년부터 EU 공항에서 SAF 의무 혼합 시작
  • 2030년 : 5% 의무 혼합
  • 2050년 : 63% 의무 혼합

Fit for 55 패키지

  • 2030년까지 온실가스 55% 감축 목표
  • 항공업계에 대한 구체적 감축 의무 부여

미국의 정책 추진

SAF Grand Challenge

  • 2030년까지 연간 110억 리터 SAF 생산 목표
  • 정부-민간 협력을 통한 대규모 투자
  • 세제 혜택을 통한 생산 인센티브 제공

아시아 태평양 지역

일본

  • 2030년까지 SAF 혼합 비율 10% 목표
  • 정부 주도의 기술 개발 지원

싱가포르

  • 아시아 SAF 허브 구축 계획
  • 지역 항공사들과의 협력 강화

항공사별 SAF 도입 전략

대형 항공사들의 선도적 노력

United Airlines

  • 2050년까지 100% 탄소중립 목표
  • SAF 구매 약정을 통한 시장 확대 기여
  • Venture Capital을 통한 SAF 스타트업 투자

Delta Air Lines

  • 10억 달러 규모의 탄소중립 투자 계획
  • SAF 공급업체와의 장기 구매 계약 체결

KLM

  • 2030년까지 SAF 사용량 10% 목표
  • 고객 참여형 SAF 프로그램 운영

국내 항공사들의 움직임

대한항공

  • 2050년 탄소중립 선언
  • SAF 도입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

아시아나항공

  • 친환경 운항 프로그램 강화
  • SAF 테스트 비행 실시

SAF 생산 및 공급망 구축 현황

글로벌 SAF 생산 현황

현재 생산량과 계획

  • 2023년 기준 : 연간 약 3억 리터 생산
  • 2030년 목표 : 330억 리터 (110배 증가 필요)

주요 생산업체들

  • Neste : 핀란드 기반, 세계 최대 SAF 생산업체
  • BP : 대규모 바이오연료 정제소 건설 계획
  • Shell : 바이오연료와 e-fuel 복합 전략
  • TotalEnergies : 프랑스 기반 통합 생산 체계

원료 다변화 전략

1세대 원료

  • 폐식용유, 동물성 지방
  • 상업적 생산 기술 확립

2세대 원료

  • 목질계 바이오매스
  • 농업 폐기물
  • 대량 생산 잠재력 높음

3세대 원료

  • 조류(algae) 기반
  • 합성 연료(e-fuel)
  • 장기적 혁신 기술

경제적 분석 : SAF 도입의 비용과 효익

현재 비용 구조

SAF vs 기존 항공유 가격 비교

  • 기존 항공유 : 리터당 약 0.8달러
  • SAF : 리터당 2-5달러 (원료와 기술에 따라 차이)
  • 가격 격차 : 2-6배

비용 절감 전망

규모의 경제 효과

  • 2030년까지 50% 비용 절감 전망
  • 대량 생산 시설 증설을 통한 단가 하락

기술 발전 기여

  • 제조 공정 효율화
  • 새로운 원료 기술 개발
  • 생산성 향상을 통한 비용 최적화

결론 : SAF 중심의 항공업계 탄소중립 실현

항공업계의 2050 탄소중립 목표는 결코 쉽지 않은 도전입니다. 하지만 체계적인 로드맵과 SAF를 중심으로 한 실현 가능한 전략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성공의 핵심 요소들 :

  1. 정부의 강력한 정책 지원
  2. 산업계의 적극적 투자와 협력
  3. 기술 혁신을 통한 비용 절감
  4. 소비자와 사회의 지속적 관심

SAF는 단순한 연료 대체를 넘어 항공업계 전체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아가고 있습니다.

다음 3부에서는 SAF의 온실가스 배출 계산 방법론과 관리 체계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과 구독 부탁드립니다! 🌍✈️


📌 관련 시리즈

  • 1부: 지속 가능한 항공연료(SAF)란 무엇인가?
  • 3부: SAF 온실가스 배출 계산 방법론과 관리 체계
  • 4부: SAF 도입 현황과 미래 전망
  • 5부: 기업의 SAF 활용 전략과 실제 적용 사례

태그: #탄소중립 #IATA #ICAO #항공업계로드맵 #SAF전략 #CORSIA #온실가스감축 #항공정책 #지속가능항공 #기후변화대응 #ReFuelEU #탄소상쇄 #친환경항공 #그린뉴딜 #ESG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