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1408355 CBAM Part 6 : 1년도 남지 않은 CBAM 전면시행(26년 1월) 안녕하세요, 글렉입니다. 😊오랜만에 물류 탄소 규제에 대한 글을 업로드하는 것 같네요. 오늘 포스팅의 주제는 CBAM입니다. CBAM에 대한 내용은 이미 연재를 했었는데요.규제 특성상 업데이트 된 가장 최신 버전을 알고있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렇게 꾸준히 업로드하려고 합니다. CBAM Part 5 : 앞으로 나아갈 길, 탄소 배출 측정이 미래의 핵심인 이유1. 현대 비즈니스의 전략적 필수 요소 세계 경제가 기후 변화와 지속 가능성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계속 해결하기 위해 고군분투함에 따라 탄소 배출 측정은 주변 업무에서 핵심 비즈니스 전략glec.tistory.com1. 복습하기 : 유럽연합(EU) CBAM이란? (1) 배경기후변화 이슈에 대처하고자 EU는 2019년 12월 유럽 그린딜(Europ.. 2025. 1. 16. 지속가능항공유(SAF) Part 2 : 유럽연합(EU)의 ReFuelEU와 주요국 SAF 의무화제도 안녕하세요, 글렉입니다. 1월도 벌써 절반이 지나갔네요. 즐거운 한 해 보내고 계신가요? 이번 포스팅은 SAF, 지속가능항공유 두 번째 이야기입니다.지난 1부에서는 항공 산업의 탄소중립 연대기를 통해 SAF가 왜 주목받고 있는지 살펴보았어요.2부에서는 ESG 선진국인 유럽연합(EU)의 규제와 사례에 대해 살펴보며, 한국에 적용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해보겠습니다. 지속가능항공유(SAF) Part 1 : 항공산업 탄소중립의 열쇠안녕하세요, 글렉입니다. 다시 아티클로 찾아뵙게 되었네요 😊🙌 새로 연재할 시리즈의 주제는 바로 SAF, 지속가능항공유입니다.항공산업은 세계적인 탄소 배출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전체glec.tistory.com1. EU의 SAF 의무화 제도 : ReFuelEU (리퓨얼EU) (1.. 2025. 1. 15. 지속가능항공유(SAF) Part 1 : 항공산업 탄소중립의 열쇠 안녕하세요, 글렉입니다. 다시 아티클로 찾아뵙게 되었네요 😊🙌 새로 연재할 시리즈의 주제는 바로 SAF, 지속가능항공유입니다.항공산업은 세계적인 탄소 배출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전체 수송부문에서 두 번째로 높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제 항공은 매년 막대한 양의 이산화탄소(CO₂)를 배출하며, 앞으로의 수요 또한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되어,이를 감축하기 위한 혁신적인 대안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전기와 수소연료가 잠재적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항공기의 특성상 즉각적인 전환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이러한 한계 속에서 지속가능항공유(SAF)는 기존 항공기의 기술적 변경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최적의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복습 : 항공 산업의 탄소중립 연대기이전에 진.. 2025. 1. 13. ISO-14083 국내 표준 및 의무화 불가피성 논증을 통한 한국 물류 탄소관리 혁신 전략 1부 안녕하세요 글렉입니다 😊 오늘은 저희 첫 인사이트 리포트로 찾아뵙게 되었습니다. 인사이트 리포트에서는 물류업계에 종사하고 계신 분들께 도움 되실 만한물류배출 최신 동향, 규제, 시장분석 등 실무에 필요한 양질의 정보들이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요? 1. 배경 전세계적으로 기후변화가 심각한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온실가스 배출 감축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특히 물류 및 운송 부문은 전 세계 에너지 관련 CO2 배출량의 무려 25% 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연합은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시행하며 수출 기업 및 물류 서비스 제공사에게 전 과정 탄소정보 투명성을 요구합니다. 이에 따라 물류운송 분야에서의 탄소배출량 산정 및 보고에 있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 2025. 1. 9. ESG 평가기관 Part 5 : ESG 평가 시스템의 방향성 안녕하세요, 글렉입니다!저희 블로그가 새해를 맞아 카테고리를 재단장해보았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 이번 글은 ESG 평가기관 5부작의 마지막 포스팅입니다.이전 4부의 링크를 첨부드릴테니, 참고해주세요.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 ESG 평가기관 Part 4 : 국내 ESG 평가기관의 규제 계획과 실행방안안녕하세요, 이번 크리스마스 잘 보내셨는지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내 ESG 평가기관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려고 합니다.국내 ESG 평가기관들의 여러 규제에 대한 계획과 실행방안은 어떤 것들glec.tistory.com1. 현 체계 요약(1) 문제점투명성과 정확성의 기준을 설정하는 글로벌 대행사의 지배력이 매우 큽니다.신흥 국내 시장은 전망에도 불구하고 방법론적 불투명성, 이해 상충, 규제 단편화.. 2025. 1. 8. 물류배출 국내표준화, ISO 14083 제정 예비고시 ('25.01.17 제정고시 예정) (출처: 링크)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ISO-14083을 국가표준으로 제정하기 위한 예비고시 중 나라표준인증 사이트를 통해 KS예고고시[고시번호:제2024-0533호(2024.11.18)]가 진행 중입니다.2025년 1월 17일 예고고시가 끝난 후, 기술심의 ▶ 표준회의 ▶ 제정고시 프로세스를 거쳐 제정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ISO 14083은 물류분야 탄소 배출량 표준으로, 국제표준을 제정하는 비정구기구인 ISO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물류운송 분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전 산업에 범용되는 GHG 프로토콜이나 기존의 ISO들과 차이가 있습니다. EU에서는 이미 2023년 EU의회에서 유럽연합 26개국의 물류 배출 단일화와 물류 배출량 감축을 위해 ISO-14083을 새로운 국제표.. 2025. 1. 6. 이전 1 2 3 4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