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1408355 CSRD Part 4 : CSRD에 대한 EU국가들의 대응 현황 지난 CSRD 3부에서는 글로벌 영향과 해외 반응에 대해 알아보았으니,이번 포스팅에서는 특히 EU 내 국가들이 CSRD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CSRD Part 3 : 글로벌 영향과 해외 반응지난 CSRD 포스팅에서는 주요 공시 항목과 내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CSRD의 글로벌 영향과 그에 따른 반응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CSRD Part 2 : 주요 공시 항목 및 내용지난glec.tistory.com CSRD에 대한 EU 역내 반응은 규제 접근 방식, 경제 구조, ESG 성숙도 수준의 차이를 반영하여 국가마다 크게 다릅니다. 그러나 한 가지 공통된 맥락은 이 지침을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변혁적인 힘으로 인식하여 여러 수준에서 변화를 주도한다는 것입.. 2024. 12. 18. 물류 기업 ESG경영 가이드라인 Part 4 : ESG경영 인식 제고 전 세계적으로 ESG 경영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것이 기업, 정책 입안자, 사회에 중요한 초점이 되었습니다. 물류 기업 ESG경영 가이드라인 Part 3 : K-ESG 가이드라인K-ESG 가이드라인 도입은 한국 기업 환경을 글로벌 표준에 맞추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한국 기업이 직면한 ESG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맞춤형 프레임워크 역할을 합니다.3부에서는 이glec.tistory.com 이번 4부에서는 ESG 경영 인식의 현재 상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채택된 전략, 그리고 다양한 산업 및 커뮤니티에서 ESG 의식을 내재화하는 데 있어 직면하는 도전 과제를 살펴봅니다.1. ESG 인식의 중요성 의사결정의 질 향상 : ESG 원칙을 이해하면 기업이 수익성과 지속 가능성의 균형을 맞춘 전략.. 2024. 12. 18. CSRD Part 3 : 글로벌 영향과 해외 반응 지난 CSRD 포스팅에서는 주요 공시 항목과 내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CSRD의 글로벌 영향과 그에 따른 반응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CSRD Part 2 : 주요 공시 항목 및 내용지난 CSRD 첫 포스팅에서 CSRD를 통해 지속가능성에 대해 기업의 규모와 책임 범위를 확대시킴을 알 수 있었습니다.두 번째 포스팅에서는 CSRD가 제시하고 있는 주요 공시 항목 및 내용에 대해 살펴glec.tistory.com 1. 글로벌 확장과 관심(1) 포괄적인 ESG 보고 CSRD는 유럽 기업뿐만 아니라 유럽 연합에서 운영하거나 재정적 이해관계를 가진 외국 기업까지 그 요구 사항이 확대되었습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기업, 정부, 이해관계자들로부터 큰 반응을 이끌어냈으며, 그들에게 과제와 기.. 2024. 12. 17. 물류 기업 ESG경영 가이드라인 Part 3 : K-ESG 가이드라인 K-ESG 가이드라인 도입은 한국 기업 환경을 글로벌 표준에 맞추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한국 기업이 직면한 ESG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맞춤형 프레임워크 역할을 합니다.3부에서는 이러한 가이드라인의 구조, 핵심 구성 요소와 의미, 각 내용이 갖는 중요성을 살펴보겠습니다.1. K-ESG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지속 가능성에 대한 한국의 의지는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는 약속에서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그러나 한국의 기업은 ESG 관행을 이행하는 데 있어 다음과 같은 뚜렷한 과제에 직면해 있습니다.부문별 다양성 : 산업은 중공업부터 하이테크 부문까지 다양하며 각각 서로 다른 ESG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글로벌 공급망 : 한국의 수출 중심 경제는 글로벌 공급망에 크게 의존하므로 국제 E.. 2024. 12. 17. CSRD Part 2 : 주요 공시 항목 및 내용 지난 CSRD 첫 포스팅에서 CSRD를 통해 지속가능성에 대해 기업의 규모와 책임 범위를 확대시킴을 알 수 있었습니다.두 번째 포스팅에서는 CSRD가 제시하고 있는 주요 공시 항목 및 내용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들어가기 전에 잠깐!! 첫 포스팅을 보지 못하신 분들을 위해 CSRD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겠습니다. CSRD(Corporate Sustainability Reporting Directive)란?유럽 기업이 환경, 사회 및 거버넌스(ESG) 영향을 공개하는 방법을 표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지속 가능성 보고를 위한 상세하고 엄격한 프레임워크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CSRD Part 1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CSRD Part 1 : 탄소 책임의 확대를 향한 여정물류 탄소 규제 이전 .. 2024. 12. 16. CSRD Part 1 : 탄소 책임의 확대를 향한 여정 물류 탄소 규제 이전 기획에서 다뤘던 CBAM, 기억하시나요?이번에는 ESG 선두주자인 유럽에서 탄소 책임을 확대시킨 CSRD를 다뤄보겠습니다.1. CSRD란 무엇인가?(1) CSRD의 정의CSRD(Corporate Sustainability Reporting Directive)는 유럽연합에서 도입한 지침으로, 더 큰 기업의 책임과 투명성을 향한 여정에서 중추적인 순간을 의미합니다.(2) CSRD의 목표 비재무 보고 지침(NFRD)을 기반으로 하며 현대 환경, 사회 및 거버넌스(ESG) 문제의 긴급성과 복잡성을 반영하는 수준으로 지속 가능성 보고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CSRD는 단순히 기존 요구 사항을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이 보고해야 할 내용, 보고 방법, 준수 대상자를 완전히 재정의합니다.. 2024. 12. 16. 이전 1 2 3 4 5 6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