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1408355 CORSIA Part 3 : 모범 사례 및 시사점 안녕하세요, 벌써 이번 포스팅이 CORSIA 3부작의 마지막 포스팅이네요!지난 2부에서는 항공사들이 취할 수 있는 전략을 단기와 장기로 나누어 설명드렸습니다.이번 3부에서는 실제 항공사들의 모범 사례와 시사점을 말씀드리며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CORSIA Part 2 : 항공사의 전략적 대응지난 CORSIA 첫 번째 포스팅을 통해 항공 분야에서의 탈탄소화 여정을 살펴보았습니다.CORSIA의 영향으로 국내 항공 탄소법도 제정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CORSIA 2부에서는 항공 산업에glec.tistory.com우수 사례 연구항공 산업이 국제 항공을 위한 탄소 상쇄 및 감소 계획(CORSIA)을 준수하는 과제를 해결함에 따라 일부 항공사는 탄소 배출을 줄이고 지속 가능성을 수용하기 위한 혁신적인.. 2024. 12. 26. CORSIA Part 2 : 항공사의 전략적 대응 지난 CORSIA 첫 번째 포스팅을 통해 항공 분야에서의 탈탄소화 여정을 살펴보았습니다.CORSIA의 영향으로 국내 항공 탄소법도 제정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CORSIA 2부에서는 항공 산업에서 실제로 행해지고 있는 전략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부를 못 보신 분들은 이해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아래 링크 접속하여 꼭 읽고 와주세요 :) CORSIA Part 1 : 규정 개요 및 로드맵이번 시리즈 주제는 바로 CORSIA 입니다. 물류 배출량이 전세계 25%를 차지하고 있는만큼 많은 운송수단들 각각에 대한 배출량 저감 노력이 이어지고 있는데요,가장 먼저 이번 시리즈를 통해 항glec.tistory.com 1. 탄소 상쇄 메커니즘 : 단기 솔루션(1) 내용단기적으로 탄소 상쇄는 항공사.. 2024. 12. 24. CORSIA Part 1 : 규정 개요 및 로드맵 이번 시리즈 주제는 바로 CORSIA 입니다. 물류 배출량이 전세계 25%를 차지하고 있는만큼 많은 운송수단들 각각에 대한 배출량 저감 노력이 이어지고 있는데요,가장 먼저 이번 시리즈를 통해 항공 산업에서의 탈탄소화 여정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ESG 평가점수, Rating에 대한 시리즈도 연재되고 있습니다. 함께 보시면 이해가 더 빠르실 거예요 ㅎㅎ ESG 평가기관 Part 1 : 해외 ESG 평가기관오늘부터는 새로운 주제로 연재를 시작하려 합니다. 지금까지 ESG규제, ESG경영 등의 주제를 주로 다뤄봤는데요, 그렇다면 이러한 ESG 활동에 대한 평가는 어떻게 이뤄지고 있을까요?이번 시리즈glec.tistory.com1. 항공 산업에서의 기후 문제 맥락기후 위기와 씨름하는 세계에서 항공은 기술 발전의.. 2024. 12. 23. ESG 평가기관 Part 1 : 해외 ESG 평가기관 오늘부터는 새로운 주제로 연재를 시작하려 합니다. 지금까지 ESG규제, ESG경영 등의 주제를 주로 다뤄봤는데요, 그렇다면 이러한 ESG 활동에 대한 평가는 어떻게 이뤄지고 있을까요?이번 시리즈는 ESG 평가기관에 대한 내용을 연재할 예정입니다. 독자 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릴게요 😀😀 CSRD Part 1 : 탄소 책임의 확대를 향한 여정물류 탄소 규제 이전 기획에서 다뤘던 CBAM, 기억하시나요?이번에는 ESG 선두주자인 유럽에서 탄소 책임을 확대시킨 CSRD를 다뤄보겠습니다.1. CSRD란 무엇인가?(1) CSRD의 정의CSRD(Corporate Sustainability Reglec.tistory.com 물류 기업 ESG경영 가이드라인 Part 1 : 주요 국가별 ESG 이행 현황ESG(환.. 2024. 12. 20. CSRD Part 5 : 국내 물류산업에 미치는 영향 CSRD 5부작의 마지막 포스팅입니다!지금까지 CSRD가 어떤 규제인지, 주요 조항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글로벌 세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습니다.마지막 포스팅에서는 국내 물류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 CSRD Part 4 : CSRD에 대한 EU국가들의 대응 현황지난 CSRD 3부에서는 글로벌 영향과 해외 반응에 대해 알아보았으니,이번 포스팅에서는 특히 EU 내 국가들이 CSRD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CSRD Part 3 : 글로벌 영향과 해glec.tistory.com1. CSRD의 전반적 영향CSRD(Corporate Sustainability Reporting Directive)는 현대 경제의 핵심 요소인 물류 산업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물류 산업.. 2024. 12. 19. 물류 기업 ESG경영 가이드라인 Part 5 : 평가지표 구축 벌써 물류기업 ESG경영 가이드라인 5부작 마지막 포스팅이네요.저희 블로그에 방문해주신 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 물류 기업 ESG경영 가이드라인 Part 4 : ESG경영 인식 제고전 세계적으로 ESG 경영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것이 기업, 정책 입안자, 사회에 중요한 초점이 되었습니다. 물류 기업 ESG경영 가이드라인 Part 3 : K-ESG 가이드라인K-ESG 가이드라인 도입은 한국glec.tistory.com ESG경영 활동을 하면 그에 따른 평가가 수반되고 기업 이미지에 직결되겠죠?마지막 5부에서는 물류 산업을 위한 지표 개발의 구성 요소와 설계 원칙 및 의미, 그리고 지속 가능성과 경쟁력에 대한 광범위한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1. 물류 분야 ESG 평가 지표의 필요성 글로벌 지속가능성 과.. 2024. 12. 19. 이전 1 2 3 4 5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