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am14 [글렉 뉴스] 2025년 2월 소식지 Vol.2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2. 7. CBAM Part 6 : 영국의 CBAM(27년 1월 시행) 안녕하세요, 글렉입니다. 😀😀 오늘도 탄소국경세 CBAM에 대한 내용을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CBAM 규제 시행이 점점 다가오고 있는 만큼 국내 기업들의 대비가 시급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EU를 비롯한 영국과 미국 등 많은 주요국들이 자체적인 제도를 만들려 하고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그중에서도 영국의 CBAM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BAM Part 6 : 1년도 남지 않은 CBAM 전면시행(26년 1월)안녕하세요, 글렉입니다. 😊오랜만에 물류 탄소 규제에 대한 글을 업로드하는 것 같네요. 오늘 포스팅의 주제는 CBAM입니다. CBAM에 대한 내용은 이미 연재를 했었는데요.규제 특성상 업데이트glec.tistory.com1. 영국의 CBAM이란? (1) 영국 CBAM영국의 CBAM은.. 2025. 1. 17. CBAM Part 6 : 1년도 남지 않은 CBAM 전면시행(26년 1월) 안녕하세요, 글렉입니다. 😊오랜만에 물류 탄소 규제에 대한 글을 업로드하는 것 같네요. 오늘 포스팅의 주제는 CBAM입니다. CBAM에 대한 내용은 이미 연재를 했었는데요.규제 특성상 업데이트 된 가장 최신 버전을 알고있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렇게 꾸준히 업로드하려고 합니다. CBAM Part 5 : 앞으로 나아갈 길, 탄소 배출 측정이 미래의 핵심인 이유1. 현대 비즈니스의 전략적 필수 요소 세계 경제가 기후 변화와 지속 가능성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계속 해결하기 위해 고군분투함에 따라 탄소 배출 측정은 주변 업무에서 핵심 비즈니스 전략glec.tistory.com1. 복습하기 : 유럽연합(EU) CBAM이란? (1) 배경기후변화 이슈에 대처하고자 EU는 2019년 12월 유럽 그린딜(Europ.. 2025. 1. 16. ISO-14083 국내 표준 및 의무화 불가피성 논증을 통한 한국 물류 탄소관리 혁신 전략 1부 안녕하세요 글렉입니다 😊 오늘은 저희 첫 인사이트 리포트로 찾아뵙게 되었습니다. 인사이트 리포트에서는 물류업계에 종사하고 계신 분들께 도움 되실 만한물류배출 최신 동향, 규제, 시장분석 등 실무에 필요한 양질의 정보들이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요? 1. 배경 전세계적으로 기후변화가 심각한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온실가스 배출 감축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특히 물류 및 운송 부문은 전 세계 에너지 관련 CO2 배출량의 무려 25% 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연합은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시행하며 수출 기업 및 물류 서비스 제공사에게 전 과정 탄소정보 투명성을 요구합니다. 이에 따라 물류운송 분야에서의 탄소배출량 산정 및 보고에 있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 2025. 1. 9. CSRD Part 5 : 국내 물류산업에 미치는 영향 CSRD 5부작의 마지막 포스팅입니다!지금까지 CSRD가 어떤 규제인지, 주요 조항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글로벌 세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습니다.마지막 포스팅에서는 국내 물류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 CSRD Part 4 : CSRD에 대한 EU국가들의 대응 현황지난 CSRD 3부에서는 글로벌 영향과 해외 반응에 대해 알아보았으니,이번 포스팅에서는 특히 EU 내 국가들이 CSRD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CSRD Part 3 : 글로벌 영향과 해glec.tistory.com1. CSRD의 전반적 영향CSRD(Corporate Sustainability Reporting Directive)는 현대 경제의 핵심 요소인 물류 산업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물류 산업.. 2024. 12. 19. CSRD Part 4 : CSRD에 대한 EU국가들의 대응 현황 지난 CSRD 3부에서는 글로벌 영향과 해외 반응에 대해 알아보았으니,이번 포스팅에서는 특히 EU 내 국가들이 CSRD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CSRD Part 3 : 글로벌 영향과 해외 반응지난 CSRD 포스팅에서는 주요 공시 항목과 내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CSRD의 글로벌 영향과 그에 따른 반응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CSRD Part 2 : 주요 공시 항목 및 내용지난glec.tistory.com CSRD에 대한 EU 역내 반응은 규제 접근 방식, 경제 구조, ESG 성숙도 수준의 차이를 반영하여 국가마다 크게 다릅니다. 그러나 한 가지 공통된 맥락은 이 지침을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변혁적인 힘으로 인식하여 여러 수준에서 변화를 주도한다는 것입.. 2024. 12. 18.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