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g평가기관4

배출권거래제(ETS) Part 2 : EU ETS 上 안녕하세요 글렉입니다.😊지난 배출권거래제(ETS) 1부에서는 국내 배출권거래제의 개요에 대해 살펴봤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내 배출권거래제가 어떻게 발전해왔고, 현재 모습을 갖추게 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 정책은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ETS)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업체들의 배출량이 국가 총배출량의 약 70%를 차지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역시 2015년부터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해 기업의 탄소 감축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난 20년간 ETS는 어떻게 진화했을까요?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계 최초의 ETS인 EU의 배출권거래제를 추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EU와 한국의 배출권거래제 1~4기 발전 과정을 비교하며,.. 2025. 2. 12.
배출권거래제(ETS) Part 1 : 국내 배출권거래제 개요 안녕하세요 글렉입니다.😊그동안은 ESG 활동이 선행되고 있는 해외 사례에 대해 주로 살펴봤는데요, 오늘은 국내 규제의 흐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INTRO -2024년 12월 31일, 국무회의에서 '제4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2026~2035)'이 확정됐습니다.이는 향후 10년간 한국의 배출권거래제의 청사진이 확정된 것으로 기업들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 할 사항입니다.첫  포스팅에서는 국내 배출권거래제 개요를 알아보겠습니다. 물류배출 국내표준화, ISO 14083 제정 예비고시 ('25.01.17 제정고시 예정)(출처: 링크)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ISO-14083을 국가표준으로 제정하기 위한 예비고시 중  나라표준인증 사이트를 통해 KS예고고시[고시번호:.. 2025. 2. 6.
2025년, EU(유럽연합)의 ESG 규제 Part 1 : 지속가능성 규제 간소화 안녕하세요, 글렉입니다. 😊 새로운 시리즈 연재의 시작을 알립니다. 이번 시리즈는 2025년 EU(유럽연합)의 ESG 규제가 어떻게 흘러갈지 모니터링하며 업데이트 되는 과정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CSRD, CSDDD 등 해외 규제부터 국내 KS ISO-14083 표준 제정까지 현재 ESG 규제들의 개시일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사전에 준비할 수 있도록 저희 글렉이 힘껏 돕겠습니다.  - INTRO -가장 먼저 소개드릴 현황은 바로 EU의 지속가능성 규제 단순화입니다.유럽연합은 지속가능성 규제의 중복을 없애 기업들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옴니버스 단순화 패키지" 도입을 추진중입니다.옴니버스 패키지에는 EU 택소노미, CSRD, 그리고 CSRDDD가 포함됩니다.   물류배출 국내표준화, IS.. 2025. 2. 5.
ESG 평가기관 Part 5 : ESG 평가 시스템의 방향성 안녕하세요, 글렉입니다!저희 블로그가 새해를 맞아 카테고리를 재단장해보았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 이번 글은 ESG 평가기관 5부작의 마지막 포스팅입니다.이전 4부의 링크를 첨부드릴테니, 참고해주세요.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  ESG 평가기관 Part 4 : 국내 ESG 평가기관의 규제 계획과 실행방안안녕하세요, 이번 크리스마스 잘 보내셨는지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내 ESG 평가기관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려고 합니다.국내 ESG 평가기관들의 여러 규제에 대한 계획과 실행방안은 어떤 것들glec.tistory.com1. 현 체계 요약(1) 문제점투명성과 정확성의 기준을 설정하는 글로벌 대행사의 지배력이 매우 큽니다.신흥 국내 시장은 전망에도 불구하고 방법론적 불투명성, 이해 상충, 규제 단편화.. 2025. 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