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권 10톤당 1억원? 우리 회사 물류비 폭탄 예고
안녕하세요 물류&운송산업 탄소배출량 측정 전문기업 글렉입니다. 🚛
2025년, 물류업계의 불안한 아침
서울의 한 중견 물류기업 대표 김 사장은 최근 잠을 이루지 못합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2026년부터 EU는 탄소를 많이 배출하며 만든 제품에 대해 추가 세금을 부과할 예정이고, 국내 배출권 가격도 언제 급등할지 모르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2020년 유상할당경매 제도를 시행하여 가격발견기능을 보완하고 유상할당비중 10%로 상향한 이후, 물류기업들의 부담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K-ETS,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니다
최근 3년간 온실가스 배출량의 연평균 총량이 125,000톤 이상인 업체이거나 25,000톤 이상인 사업장을 1개 이상 보유한 업체라면 이미 배출권거래제의 직접 대상입니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직접 대상이 아니더라도 공급망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점입니다. 다국적 기업들은 협력사(공급망)에도 온실가스 감축 목표 이행을 요구하며, 탄소 관리 수준이 낮으면 주요 거래처로부터 배제될 위험이 커지고 있습니다.
배출권 가격, 롤러코스터를 타다
KAU(Korean Allowance Unit, 할당배출권)의 평균 가격은 2020년 30,713원에서 2021년 23,023원으로 하락했다가, 최근 다시 변동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2019년 5월 갑작스러운 배출권의 이월제한조치와 2021년 4월과 6월의 배출권 최저가격설정과 같은 정부 개입 변수들은 배출권 가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기업들의 예측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물류비용 증가 시나리오 : 생각보다 심각하다
한 중형 물류기업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현재 상황
-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 : 50,000톤
- 무상할당 비율 : 90%
- 유상구매 필요량 : 5,000톤
- 현재 배출권 가격 : 톤당 25,000원
- 연간 배출권 구매비용 : 1억 2,500만원
2030년 예상 시나리오
- 유상할당 확대와 배출허용 총량 축소로 유상구매 필요량 증가
- 예상 유상구매량 : 15,000톤 (30%)
- 예상 배출권 가격 : 톤당 50,000원
- 예상 연간 구매비용 : 7억 5,000만원
물류비용이 6배 증가한다는 것, 이것이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해운업계는 이미 시작됐다
2024년 1월 1일부터 EU ETS의 적용 범위에는 해운 운송이 포함됩니다. 총톤수 5,000톤 이상의 화물 및 여객 선박의 선박 운영자는 배출량을 보고하고 CO2 발생량 1톤당 할당량을 배정해야 합니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유럽연합 항구에서 비유럽연합 항구로 향하는 항해의 50%에 대해서도 배출권을 구매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우리 회사, 얼마나 영향받을까? [계산은 예시입니다]
물류기업이 받게 될 영향을 계산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1단계 : 현재 배출량 파악
- 경유 사용량 × 2.6 (배출계수) = CO2 배출량
- 예 : 월 100,000리터 사용 시 → 260톤 CO2
2단계 : 미래 비용 예측
- 직접 배출권 구매비용
- 화주사 요구에 따른 탄소회계 비용
- 탄소 관리 시스템 구축비용
3단계 : 리스크 평가
- 주요 화주사의 ESG 요구수준
- 경쟁사 대비 탄소 관리 수준
- 신규 사업 기회 상실 가능성
지금 준비하지 않으면
글로벌 투자기관·은행은 기업의 탄소배출량과 ESG 성과를 중시하고, 배출권 확보 및 투명한 감축 로드맵을 마련한 기업에 투자·대출을 우선시합니다.
실제로 한 물류기업은 탄소 관리 체계 부재로 대기업 입찰에서 탈락했고, 다른 기업은 ESG 평가 미흡으로 금융 조달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해결책은 있다
다행히 아직 늦지 않았습니다.
즉시 실행 가능한 대응책
- 현재 배출량 정확히 측정하기
- 배출량 관리 시스템 도입
- 감축 목표 수립 및 로드맵 작성
- 탄소회계 체계 구축
- 공급망 협력 강화
특히 온실가스 감축 사업은 정확한 측정(Monitoring)·보고(Reporting)·검증(Verification), 즉 MRV가 필수입니다.
GLEC이 함께합니다
물류업계의 탄소중립 여정, 혼자 가기엔 너무 막막하실 겁니다. GLEC은 물류&운송 전문 탄소 관리 파트너로서 여러분과 함께하겠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물류 탄소배출 관리의 핵심 MRV, 왜 지금 시작해야 하나"라는 주제로 더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소개하겠습니다.
탄소배출량 관련 상담 및 문의는 GLEC 홈페이지를 방문해주세요
https://glec.io/?utm_source=tistory&utm_medium=blog&utm_campaign=blog_event
GLEC - 친환경 물류 탄소배출 관리
글렉(GLEC)은 탄소배출을 수집·시각화·분석하는 플랫폼입니다.
glec.io
#배출권거래제 #K-ETS #물류탄소중립 #ESG경영 #탄소배출권 #물류비용절감 #EU-ETS #탄소회계 #MRV #GLEC
'주제 > 물류 ESG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녹색물류 인증 완벽가이드 (0) | 2025.09.25 |
---|---|
SK AX, '카테나-X' 기반 제조 공급망 전 주기 ESG 전환 본격화 (0) | 2025.09.24 |
2025년 탄소중립 핵심전략, 기후에너지부 왜 지금인가? (0) | 2025.09.18 |
2025년, 트럭 한 대가 만드는 기후 변화 (0) | 2025.09.17 |
환경성과 개선전략과 보고서 품질 높이기 (3) | 2025.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