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제/물류 ESG 경영

2025년 탄소중립 핵심전략, 기후에너지부 왜 지금인가?

by GLEC(글렉) 2025. 9. 18.

안녕하세요 물류&운송산업 탄소배출량 측정 전문기업 글렉입니다.

 

2025년 현재, 대한민국의 에너지 정책이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기후에너지부 신설이 주요 정책 과제로 논의되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데요. 오늘은 이러한 논의가 나오게 된 배경과 현황을 객관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분산된 에너지·기후 정책 체계의 현황

현재 우리나라의 기후·에너지 정책은 여러 부처에서 담당하고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에너지 공급과 산업 정책을, 환경부는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 대응을, 국토교통부는 건물 에너지와 교통 부문을 각각 관리하는 구조입니다.

 

이러한 다원화된 체계에서 정책 조율의 어려움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에너지전환포럼 관계자는 "부처 간 정책 조율 과정에서 시간이 소요되고, 일관된 정책 추진에 어려움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2025년 하반기 제출 예정인 2035년 감축목표(NDC) 수립 과정에서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국회입법조사처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체제 하에서는 부처별 정책 우선순위가 달라 종합적인 탄소중립 전략 수립에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50 탄소중립 : 국제사회와의 약속

기후변화 대응은 이제 전 지구적 과제입니다.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는 2100년까지 지구 평균온도 상승폭을 1.5℃ 이내로 제한하기 위해서는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10년 대비 최소 45% 이상 감축해야 하고, 2050년경에는 탄소중립을 달성해야 한다고 제시했습니다.

 

우리나라는 2021년 10월 2050 탄소중립위원회를 통해 "2018년 온실가스 총배출량 대비 40% 감축"이라는 2030 NDC 상향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기존 26.3%에서 상향 조정된 목표입니다.

 

대선 공약집에 따르면 "탄소중립 실현은 환경정책을 넘어 산업·경제 전반의 구조적 전환이 필요한 과제"로 정의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체계적인 거버넌스 구축과 종합적 정책 추진 방안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통합 거버넌스 구축 논의 현황

기후에너지부 신설 논의의 핵심은 분산된 정책 기능의 통합입니다. 현재 탄소 배출량 감축 권한은 환경부에, 산업과 에너지 정책은 산업부에, 예산은 기재부가 각각 담당하고 있어 정책 시너지 창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2025년 6월 개최된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정책 방향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제시했습니다 :

첫째, 에너지 공급 정책과 수요 관리, 기후 적응을 포괄하는 통합적 정책 수립
둘째, 재생에너지 보급부터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까지 연계된 정책 추진
셋째, 전문 부처를 통한 체계적인 기후·에너지 의제 관리

 

건물부문 온실가스 배출이 전체의 약 20~40%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기계설비 효율화와 신재생에너지 보급 정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관련 업계에서는 정책 일관성 확보와 제도적 지원 체계 마련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


국제 동향과 산업 경쟁력

전 세계적으로 기후위기 대응이 국가 전략의 중심이 되고 있습니다. EU는 탄소국경조정메커니즘(CBAM)을 도입했고,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청정에너지 산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들도 RE100 참여, 탄소중립 선언 등 글로벌 시장 요구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에너지고속도로 구축을 통한 RE100 달성'을 국정과제로 제시하며, 재생에너지 인프라 확충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서울과학기술대 관계자는 "에너지 산업은 큰 변화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국민 참여와 사회적 합의

기후에너지부 논의는 단순한 조직 개편을 넘어 사회적 전환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공약집에는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를 국민참여 기구로 운영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녹색연합은 "기후위기 대응과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전환 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며 "그동안 여러 부처에 분산되어 있던 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체계 구축이 중요하다"고 제안했습니다.


향후 과제와 전망

2025년 하반기, 우리나라는 2035년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UN에 제출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체계적인 정책 수립과 실행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기후위기는 환경 문제를 넘어 경제, 산업, 일자리와 연계된 복합적 과제입니다.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통합적 접근과 장기적 비전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입니다.

 

향후 정부조직 개편 논의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 수렴과 사회적 합의 도출이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탄소중립 시대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정책의 일관성과 실행력 확보가 핵심 과제가 될 전망입니다.


탄소배출량 관련 상담 및 문의는 GLEC 홈페이지를 방문해주세요

https://glec.io/?utm_source=tistory&utm_medium=blog&utm_campaign=blog_event

 

GLEC - 친환경 물류 탄소배출 관리

글렉(GLEC)은 탄소배출을 수집·시각화·분석하는 플랫폼입니다.

glec.io

#기후에너지부 #탄소중립 #에너지전환 #온실가스감축 #RE100 #NDC #기후위기대응 #에너지정책 #탄소배출권 #지속가능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