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물류&운송산업 탄소배출량 측정 전문기업 글렉입니다. 🌍
RE100 시리즈 두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한국 물류업계의 탄소배출 현황을 정확히 진단하고, RE100 목표와의 격차를 분석해보겠습니다. 현실을 직시해야 올바른 해결책을 찾을 수 있겠죠?
한국 물류산업의 탄소배출 현황 📊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중 운송부문 비중 2022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은 6억 7,660만 톤이며, 이 중 운송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14%입니다. 물류산업은 에너지 부문(86.9%) 다음으로 탄소배출이 많은 분야죠.
물류 수단별 탄소배출 비중
- 도로운송 : 전체 운송부문의 96%
- 해운 : 2.5%
- 항공 : 1%
- 철도 : 0.5%
놀랍게도 도로운송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나라 물류의 도로 의존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물류기업들의 전력 사용 현황 ⚡
물류센터의 전력 소비 급증 이커머스 성장과 함께 물류센터의 대형화, 자동화가 진행되면서 전력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
- 냉동·냉장 물류센터 : 일반 물류센터 대비 3~4배 전력 소비
- 자동화 물류센터 : 컨베이어, 소터, AGV 등으로 전력 사용 증가
- 24시간 운영 : 새벽배송 등으로 인한 상시 가동
주요 물류기업 전력 사용 현황 국내 RE100 가입 36개 기업의 연간 전력 수요는 약 60TWh로, 이는 전체 전력생산량의 10%를 넘습니다. 물류기업들도 상당한 전력을 사용하고 있지만, 아직 정확한 통계는 부족한 실정입니다.
RE100 목표와의 격차 분석 🎯
1. 재생에너지 공급 부족 2022년 기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약 49TWh입니다. RE100 가입 기업들의 수요(60TWh)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죠. 물류기업들이 추가로 참여하면 공급 부족은 더욱 심화될 것입니다.
2. 신규 재생에너지 설치 둔화
- 2021년 : 4GW 신규 설치 (최고치)
- 2022년 : 2.9GW
- 2023년 : 2.5GW (추정)
- 2024년 상반기 : 1GW
재생에너지 설치가 오히려 감소하고 있어 RE100 목표 달성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3. 높은 재생에너지 가격 REC 가격이 7~8만원대를 유지하고 있어 기업들의 부담이 큽니다. 특히 마진이 낮은 물류업계에는 더욱 큰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물류업계가 직면한 특수한 도전 과제 🚧
1. 낮은 수익성 물류업은 전통적으로 마진이 낮은 산업입니다. 2024년 기준 주요 물류기업들의 영업이익률은 3~5% 수준으로, 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한 추가 비용 부담이 쉽지 않습니다.
2. 계약 구조의 한계 많은 물류기업들이 화주와의 장기 계약으로 운영되고 있어, RE100으로 인한 추가 비용을 가격에 반영하기 어렵습니다.
3. 인프라 투자 부담
- 전기트럭 도입 : 디젤 트럭 대비 2~3배 비용
- 충전 인프라 구축 : 물류센터당 수십억 원 투자 필요
- 태양광 설치 : 초기 투자비용 부담
4. 기술적 한계
- 장거리 운송용 전기트럭 기술 미성숙
- 대형 화물선, 항공기의 대체 연료 부족
- 수소 인프라 부족
국내외 격차 비교 🌏
해외 선진 물류기업 현황
- DHL : 2024년 기준 전기차 3.5만대 운영, 2030년까지 8만대 목표
- Amazon : 2024년 전기 배송차량 1만대 운영
- Maersk : 2024년 첫 그린 메탄올 선박 운항 시작
국내 물류기업 현황
- 전기트럭 도입 : 대부분 시범 운영 수준
- 재생에너지 사용 : 극히 일부 물류센터만 태양광 설치
- RE100 가입 : 아직 없음
격차가 상당히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포기하기엔 이릅니다!
그래도 희망은 있다! 💪
정부 지원 확대
- K-RE100 제도 도입으로 참여 문턱 낮춤
- 전기·수소 화물차 보조금 지원
- 물류센터 태양광 설치 지원 사업
기술 발전
- 전기트럭 가격 하락 추세
- 배터리 성능 향상으로 주행거리 증가
- 충전 시간 단축 기술 개발
고객 인식 변화 소비자들의 친환경 물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화주 기업들도 물류 파트너의 탄소중립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시작했습니다.
현실적인 대응 방안 🛠️
단기 전략 (1~3년)
- 에너지 효율 개선
- LED 조명 교체
- 에너지 관리 시스템 도입
- 운전 습관 개선 교육
- 부분적 재생에너지 도입
- 물류센터 지붕 태양광 설치
- 녹색프리미엄제 부분 가입
중기 전략 (3~5년)
- 친환경 차량 단계적 도입
- 도심 배송용 전기트럭 우선 도입
- 충전 인프라 구축
- RE100 로드맵 수립
- 2030년 목표 설정
- 재생에너지 조달 계획 수립
장기 전략 (5년 이상)
- 전면적 전환
- 전 차량의 친환경 전환
- 100% 재생에너지 사용
- 공급망 전체 탄소중립
- 협력사 RE100 참여 유도
- 탄소중립 생태계 구축
마무리하며 🌱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한국 물류업계가 RE100을 달성하기까지는 많은 도전과제가 있습니다. 하지만 변화는 이미 시작되었고, 준비하는 기업만이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위기는 곧 기회"라는 말처럼, RE100 전환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물류기업이 RE100 로드맵을 어떻게 수립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힘든 현실이지만, 함께 극복해나가요! 💚
#물류탄소배출 #RE100격차 #한국물류현황 #탄소중립도전 #친환경물류 #전기트럭 #재생에너지부족 #물류ESG #지속가능물류 #그린물류
탄소배출량 관련 상담 및 문의는 GLEC 홈페이지를 방문해주세요
https://glec.io/?utm_source=tistory&utm_medium=blog&utm_campaign=blog_event
GLEC - 친환경 물류 탄소배출 관리
GLEC은 물류 탄소배출을 국제표준으로 관리하고, 글로벌 인증과 검증이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제 물류 탄소배출 측정부터 데이터 분석, 보고서 생성까지 한번에, 쉽게 시작하세요!
glec.io
'주제 > ESG 기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벤치마케팅편 : 국내외 물류기업 RE100 성공사례 분석 (6) | 2025.08.04 |
---|---|
실전 가이드편 : 물류기업의 RE100 로드맵 수립하기 (5) | 2025.08.04 |
RE100 기초편 : 물류기업이 알아야 할 재생에너지 전환의 모든 것 (1) | 2025.08.04 |
SBTi 인증 절차와 기업 탄소중립 달성 전략 (0) | 2025.07.16 |
CDP 도입으로 고객 데이터 통합하는 완벽 가이드 (0) | 2025.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