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물류&운송산업 탄소배출량 측정 전문기업 글렉입니다. 🌟
RE100 시리즈 네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실제로 RE100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국내외 물류기업들의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선배들의 경험에서 배우는 것만큼 확실한 공부는 없겠죠?
글로벌 리더들의 RE100 여정 🌍
1. DHL Group - "2050 제로 에미션" 선언의 선구자
기업 개요
- 매출 : 약 818억 유로 (2023년)
- 직원 : 60만명
- 진출국가 : 220개국
RE100 추진 현황 DHL은 2017년 물류업계 최초로 2050년 넷제로를 선언했습니다. 단순한 선언이 아닌 구체적인 실행이 인상적입니다 :
주요 성과 (2024년 기준)
- 전기 배송차량 35,000대 운영 중
- 2030년까지 80,000대 목표
- 물류센터 LED 100% 전환 완료
- 주요 허브 태양광 패널 설치
투자 규모
- 2030년까지 70억 유로 투자 계획
- 연평균 10억 유로 규모
성공 요인
- CEO의 강력한 리더십 : 프랭크 아펠 전 CEO가 직접 챔피언
- 단계적 접근 : 도심 라스트마일부터 시작
- 기술 개발 투자 : 자체 전기트럭 개발 (StreetScooter)
- 고객 참여 : GoGreen 프로그램으로 고객도 동참
💡 인사이트 : 거대한 목표도 작은 실행부터 시작됩니다!
2. Maersk - 해운업계의 게임 체인저
기업 개요
- 세계 2위 컨테이너 선사
- 선박 700척 이상 보유
RE100 추진 현황 해운업은 탈탄소화가 가장 어려운 분야입니다. 하지만 Maersk는 과감한 도전을 시작했습니다 :
주요 성과
- 2024년 첫 그린 메탄올 추진 선박 운항 개시
- 2030년까지 25% 그린 연료 전환 목표
- 2040년 넷제로 목표 (업계 평균보다 10년 빠름)
전략적 접근
- 연료 확보 : 그린 메탄올 생산업체와 장기 계약
- 고객 협력 : 아마존, H&M 등과 그린 운송 계약
- 기술 투자 : 암모니아, 수소 등 미래 연료 R&D
교훈 "불가능해 보이는 목표도 첫 걸음을 내딛으면 길이 보입니다" - 쇠렌 스코우 CEO
3. Amazon - 물류 혁신의 아이콘
RE100 추진 현황 아마존은 2019년 'The Climate Pledge'를 발표하며 2040년 넷제로를 선언했습니다 :
주요 투자
- 전기 배송밴 100,000대 주문 (Rivian)
- 2024년 기준 10,000대 운영 중
- 물류센터 태양광 프로젝트 400개 이상
혁신적 접근
- 수직 통합 : 전기차 제조사 직접 투자
- 규모의 경제 : 대량 구매로 비용 절감
- 데이터 활용 : AI로 최적 배송 경로 설계
아시아 물류기업들의 도전 🌏
4. 야마토운수 (일본) - 섬세한 접근
RE100 추진 현황
- 2030년 전기차 20,000대 도입 목표
- 소형 전기 삼륜차 개발 (도심 특화)
- 거점간 철도 운송 확대
특징 일본 특유의 세심함으로 도시별 특성에 맞춘 맞춤형 전략 구사
5. SF Express (중국) - 속도전
RE100 추진 현황
- 2025년까지 전기차 10,000대 목표
- 대규모 태양광 물류파크 건설
- 드론 배송으로 탄소 절감
특징 중국 정부의 강력한 지원을 바탕으로 빠른 전환 추진
한국 물류기업들의 첫 걸음
6. CJ대한통운 - 수소 물류의 선구자
주요 활동
- 2024년 11톤 수소트럭 시범 운영 시작
- SK E&S와 액화수소 운송사업 협력
- 2040년 RE100 자체 목표 수립
혁신 포인트
- 수소 생태계 구축 : 생산-운송-활용 전 과정 참여
- TES 기술 : 자체 물류 기술로 에너지 효율 극대화
- 정부 협력 : 수소 시범사업 적극 참여
시사점 "남들이 가지 않은 길(수소)에서 기회를 찾았습니다"
7. 현대글로비스 - 2045년 탄소중립 선언
주요 계획
- 2030년 매출 40조원, 영업이익 3조원 목표
- 2045년 탄소중립 (업계 평균보다 5년 빠름)
- 비계열 고객 확대로 규모의 경제 실현
전략적 접근
- 해운 부문 : 에너지 효율 개선 기술 도입
- 육상 운송 : 전기·수소차 단계적 전환
- 고객 다변화 : 신생 전기차 기업 물류 수주
8. 쿠팡 - 로켓배송의 친환경 전환
주요 활동
- 전기 배송차량 단계적 도입
- 물류센터 에너지 효율화
- 포장재 친환경 전환
특징 빠른 배송과 친환경을 동시에 추구하는 도전적 목표
중소 물류기업의 현실적 대안 💡
9. 로지스올 (가상 사례)
기업 규모
- 직원 200명
- 차량 50대
- 물류센터 2개
RE100 접근법
- 시작 : 물류센터 LED 전환 (투자비 5천만원)
- 확대 : 옥상 태양광 설치 (투자비 3억원)
- 전환 : 도심 배송용 전기차 5대 도입
- 가속 : 녹색프리미엄제 가입
성과
- 3년간 에너지 비용 20% 절감
- 대기업 화주 신규 계약 성공
- 직원 자부심 향상
교훈 "작은 기업도 할 수 있습니다. 시작이 중요합니다!"
성공 사례에서 배우는 7가지 교훈 📚
1. 리더십이 핵심이다
모든 성공 기업의 공통점은 CEO의 확고한 의지였습니다.
2. 완벽보다 시작이 중요하다
DHL도 처음엔 자전거 배송부터 시작했습니다.
3. 협력이 경쟁력이다
- 고객과 협력 : 비용 분담, 장기 계약
- 정부와 협력 : 정책 지원, 인프라 활용
- 경쟁사와 협력 : 충전소 공동 이용
4. 기술에 투자하라
단순 구매가 아닌 기술 개발에 투자한 기업이 앞서갑니다.
5. 직원을 챔피언으로 만들어라
직원들의 자발적 참여 없이는 불가능합니다.
6. 측정하고 공개하라
투명한 공개가 신뢰를 만들고 동력이 됩니다.
7. 포기하지 마라
Maersk도 처음엔 "불가능하다"는 소리를 들었습니다.
우리 기업에 적용하기 🎯
Step 1 : 벤치마킹 대상 선정
- 규모가 비슷한 기업
- 같은 분야 기업
- 한 단계 앞선 기업
Step 2 : 핵심 성공요인 분석
- 무엇을 했나?
- 어떻게 했나?
- 왜 성공했나?
Step 3 : 우리 상황에 맞게 조정
- 그대로 따라하기 X
- 우리 여건에 맞게 O
Step 4 : 작게 시작하여 크게 성장
- Pilot → 확대 → 전면 도입
마무리하며 🌈
오늘 살펴본 기업들도 처음엔 막막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첫 걸음을 내딛고, 꾸준히 노력한 결과 업계 리더가 되었습니다.
"남들이 다 하니까"가 아닌 "우리가 먼저"라는 마음으로 시작한다면, 여러분의 기업도 미래의 성공 사례가 될 수 있습니다!
다음 마지막 편에서는 RE100 시대가 가져올 물류산업의 기회와 도전에 대해 전망해보겠습니다.
화이팅! 💪
#RE100성공사례 #DHL #Maersk #Amazon #CJ대한통운 #현대글로비스 #물류기업벤치마킹 #친환경물류 #전기트럭 #수소물류
탄소배출량 관련 상담 및 문의는 GLEC 홈페이지를 방문해주세요
https://glec.io/?utm_source=tistory&utm_medium=blog&utm_campaign=blog_event
GLEC - 친환경 물류 탄소배출 관리
GLEC은 물류 탄소배출을 국제표준으로 관리하고, 글로벌 인증과 검증이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제 물류 탄소배출 측정부터 데이터 분석, 보고서 생성까지 한번에, 쉽게 시작하세요!
glec.io
'주제 > ESG 기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업계가 알아야 할 CDP 7가지 핵심 - 탄소공개가 비즈니스가 되는 시대 (2) | 2025.08.06 |
---|---|
미래 준비편 : RE100 시대, 물류산업의 기회와 도전 (10) | 2025.08.04 |
실전 가이드편 : 물류기업의 RE100 로드맵 수립하기 (5) | 2025.08.04 |
현실 진단편 : 한국 물류업계의 탄소배출현황과 RE100 격차 (2) | 2025.08.04 |
RE100 기초편 : 물류기업이 알아야 할 재생에너지 전환의 모든 것 (1) | 2025.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