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물류&운송산업 탄소배출량 측정 전문기업 글렉입니다.
오늘은 물류회사 ESG 담당자분들이 꼭 알아야 할 GRI 환경 표준과 물류업에 특화된 핵심 지표들을 상세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 2025년 기준으로 최신 업데이트된 내용을 바탕으로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드릴게요!
GRI란 무엇인가요? 🤔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는 1997년 설립된 국제 비영리 기구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지속가능성 보고 표준을 제공합니다. 현재 100개국 이상에서 15,000개 이상의 조직이 GRI 표준을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글로벌 상위 250개 기업 중 78%가 GRI를 보고 기준으로 채택하고 있답니다.
GRI 표준의 가장 큰 특징은 모듈형 구조입니다. 이는 기업의 규모나 산업 특성에 관계없이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어요. 작은 물류회사부터 대형 글로벌 운송기업까지 모두 활용 가능하죠! 😊
GRI 표준의 3대 구성 체계 📚
1. 보편 표준 (Universal Standards)
모든 조직이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기본 표준입니다 :
- GRI 1 : 보고 원칙과 요구사항
- GRI 2 : 일반 공개 정보 (조직 프로필, 거버넌스 등)
- GRI 3 : 중요 주제 결정 및 관리
2. 섹터 표준 (Sector Standards)
특정 산업별로 중요한 영향을 파악하고 보고할 수 있도록 설계된 표준입니다. 현재 물류업 전용 섹터 표준은 개발 중이지만, 석유·가스, 석탄, 광업 등의 섹터 표준이 이미 발표되었어요.
3. 주제 표준 (Topic Standards)
경제, 환경, 사회 분야별 세부 주제를 다루는 표준입니다 :
- GRI 200 시리즈 : 경제적 영향 (7개 표준)
- GRI 300 시리즈 : 환경적 영향 (8개 표준)
- GRI 400 시리즈 : 사회적 영향 (9개 표준)
물류업이 주목해야 할 GRI 300 환경 표준 🚛💚
물류·운송업은 특히 환경 영향이 큰 산업이죠. GRI 300 시리즈 중에서도 물류업이 집중해야 할 핵심 지표들을 살펴볼게요 :
GRI 301 : 원재료 (Materials)
- 사용된 원재료의 중량 또는 부피
- 재활용 투입 원재료 비율
- 재생 가능한 원재료 사용 비율
GRI 302 : 에너지 (Energy)
- 조직 내 에너지 소비량
- 조직 외부 에너지 소비량
- 에너지 집약도 (물류업의 경우 톤·km당 에너지 소비)
- 에너지 소비 절감량
GRI 303 : 용수 및 폐수 (Water and Effluents)
- 취수량 및 용수 소비량
- 용수 재활용 및 재사용 비율
- 폐수 배출량 및 수질
GRI 304 : 생물다양성 (Biodiversity)
- 보호지역 인근 운영 사업장
-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중대한 영향
- 서식지 보호 또는 복원 활동
GRI 305 : 배출 (Emissions) - 물류업 최중요! ⭐
- Scope 1 : 직접 온실가스 배출 (자사 차량, 선박 등)
- Scope 2 : 간접 온실가스 배출 (구매 전력, 열 등)
- Scope 3 : 기타 간접 배출 (위탁 운송, 출장 등)
- 온실가스 배출 집약도
-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
- 오존층 파괴 물질 배출
- NOx, SOx 및 기타 중요 대기 배출
GRI 306 : 폐기물 (Waste)
- 폐기물 발생량 및 처리 방법
- 유해 폐기물 관리
- 순환경제 기여도
GRI 307 : 환경 규정 준수 (Environmental Compliance)
- 환경 법규 위반 건수 및 제재 내용
- 환경 관련 벌금 총액
GRI 308 : 공급업체 환경 평가 (Supplier Environmental Assessment)
- 환경 기준으로 평가한 신규 공급업체 비율
- 공급망 내 부정적 환경 영향 및 대응 조치
물류업 특화 환경 성과 지표 설정하기
물류·운송업은 일반 제조업과 달리 이동성이 핵심이므로, 다음과 같은 특화 지표를 추가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운송 효율성 지표
- 톤·킬로미터당 CO2 배출량 (gCO2/t·km)
- 적재율 (Load Factor) 개선도
- 공차 운행률 감소율
- 복합운송(Modal Shift) 전환율
친환경 운송수단 전환 지표
- 무공해차량 (전기차, 수소차) 도입 비율
- Euro 6 이상 차량 비율
- 바이오연료 사용 비율
- 철도·해운 전환 물동량
물류센터 환경 지표
- 녹색건축 인증 물류센터 비율
- 태양광 발전 설치 용량
- LED 조명 전환율
- 냉동·냉장 설비 에너지 효율
2025년 주목해야 할 GRI 최신 업데이트
최근 GRI는 기후변화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 새로운 표준을 발표했습니다 :
GRI 102 : 기후변화 2025 (Climate Change 2025)
2025년부터 적용되는 이 표준은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개를 더욱 강화합니다. 물류업체는 기후 리스크 평가와 시나리오 분석을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해요.
GRI 103 : 에너지 2025 (Energy 2025)
에너지 전환과 재생에너지 사용에 대한 공시 요구사항이 대폭 강화되었습니다. 특히 2030년까지의 재생에너지 전환 목표를 명확히 제시해야 합니다.
GRI 101 : 생물다양성 2024 (Biodiversity 2024)
2026년부터 의무 적용되는 이 표준은 물류 인프라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히 보고하도록 요구합니다.
물류업 GRI 보고 우수 사례 🏆
DHL 그룹
- 2050년 넷제로 목표 설정
- GoGreen Plus 서비스로 지속가능 물류 솔루션 제공
- 전 세계 사업장 100% 재생에너지 전환 추진
머스크 (Maersk)
- 2040년 넷제로 목표 (업계 최초)
- 그린 메탄올 선박 도입
- 고객별 탄소 대시보드 제공
GRI 환경 보고서 작성 체크리스트 ✅
- 중요성 평가 완료했나요?
- 이해관계자 참여 프로세스를 거쳤나요?
- 데이터 수집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나요?
- 제3자 검증을 받을 준비가 되었나요?
- 전년 대비 개선 사항을 명확히 제시했나요?
- 목표와 실적을 투명하게 공개했나요?
- 부정적 영향도 균형있게 보고했나요?
마무리하며 💭
GRI 환경 표준은 단순한 보고 가이드라인이 아니라, 물류업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나침반입니다. 특히 물류·운송업은 글로벌 공급망의 핵심으로서 환경 영향 관리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때입니다.
다음 편에서는 이러한 환경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하고 관리하는 실무 가이드를 상세히 다루어보겠습니다. 많은 기대 부탁드려요! 🚀
탄소배출량 관련 상담 및 문의는 GLEC 홈페이지를 방문해주세요
https://glec.io/?utm_source=tistory&utm_medium=blog&utm_campaign=blog_event
GLEC - 친환경 물류 탄소배출 관리
글렉(GLEC)은 탄소배출을 수집·시각화·분석하는 플랫폼입니다.
glec.io
#GRI표준 #물류ESG #환경지표 #지속가능물류 #탄소배출관리 #GRI305 #넷제로물류 #ESG보고서 #그린물류 #기후변화대응
'주제 > 물류 ESG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성과 개선전략과 보고서 품질 높이기 (3) | 2025.09.16 |
---|---|
단계별 환경데이터 수집, 관리, 보고 실무 가이드 (0) | 2025.09.16 |
ESG 시대, 물류업계가 풀어야 할 두가지 과제 (1) | 2025.09.15 |
연간 12.7조원의 손실 - 화물차 사고가 물류산업에 미치는 영향 (1) | 2025.09.15 |
물류 ESG 담당자의 고백 - 매일 야근하는 5가지 이유 (0) | 2025.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