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물류&운송산업 탄소배출량 측정 전문기업 글렉입니다. 😊
오늘은 물류 ESG 담당자들이 마주한 탄소배출 데이터 관리의 현실적인 문제점들에 대해 솔직하게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국내 물류기업의 73%가 여전히 Excel로 탄소배출량을 관리하고 있으며, 평균적으로 월 200시간을 탄소 데이터 처리에 소비하고 있다고 합니다. 더 충격적인 것은 이렇게 공들여 만든 보고서의 정확도가 평균 68%에 불과하다는 점입니다.
2025년 현재, EU의 탄소국경조정메커니즘(CBAM)이 본격 시행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K-Taxonomy가 확대 적용되면서 정확한 탄소 데이터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왜 우리는 아직도 밤늦게까지 사무실에 남아 Excel과 씨름하고 있을까요? 🤔
1. 끝없는 수작업 데이터 수집 : 매달 수백 개의 Excel 파일과의 전쟁
물류 ESG 담당자 김과장의 하루는 이렇게 시작됩니다. 아침 9시, 이메일을 열면 각 지점과 협력사로부터 보내온 수십 개의 Excel 파일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트럭 운행 기록, 창고 전력 사용량, 항공 화물 데이터... 모두 다른 형식, 다른 단위로 작성되어 있죠.
물류업계는 특히 복잡합니다. 도로, 철도, 해운, 항공, 물류센터까지 다양한 운송수단별로 각기 다른 배출계수를 적용해야 합니다. 화물 종류와 적재율, 공차 운행 여부까지 고려해야 하죠. 국제해운기구(IMO)의 보고에 따르면, 국제 해운만으로도 2023년 7억 600만 톤의 탄소를 배출했고, 육상 화물 운송은 전체 무역 관련 운송 배출량의 53%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매달 말이면 이 모든 데이터를 통합해서 하나의 보고서로 만들어야 합니다. VLOOKUP 함수 오류 하나 때문에 2시간을 허비하는 것은 일상이 되어버렸습니다. 😫
2. 복잡한 계산 방식 : GLEC Framework부터 ISO 14083까지
2023년 3월, GLEC Framework가 ISO 14083 국제표준의 핵심 기반이 되면서 이제 GLEC 준수는 글로벌 물류업계의 새로운 표준이 되었습니다. UN의 Global Green Freight Action Plan과 CDP 보고에서도 GLEC Framework 준수를 권고하고 있죠.
문제는 이 복잡한 국제 표준을 Excel로 구현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점입니다. TCE(Transport Chain Element) 분류, TOC(Transport Operation Category) 클러스터링 등 복잡한 계산을 수작업으로 처리하다 보면, 실수는 필연적으로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부산항까지 트럭으로, 부산항에서 LA항까지 컨테이너선으로, LA에서 뉴욕까지 철도로 운송되는 화물이 있다면, 각 구간별로 다른 배출계수를 적용해야 합니다. 같은 해운이라도 컨테이너선과 벌크선의 배출량은 천차만별입니다. 이 모든 것을 Excel 함수로 처리한다는 것은 마치 2025년에 주판으로 회계를 하는 것과 다름없습니다.
3. 실시간 추적의 불가능 : 이미 지나간 데이터와의 씨름
ESG 경영의 핵심은 실시간 모니터링과 즉각적인 개선입니다. 그런데 현실은 어떤가요? 대부분의 기업이 한 달 전 데이터를 이제야 정리하고 있습니다.
최근 Consultancy.EU의 보고서에 따르면, Excel 기반 탄소 관리 시스템의 가장 큰 문제점은 데이터의 추적성(traceability)과 확장성(scalability)의 부재라고 지적했습니다.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운송 경로, 연료 가격, 배출 규제를 반영할 수 없다는 것이죠.
특히 2025년부터 강화된 EU의 CSRD(Corporate Sustainability Reporting Directive)는 기업들에게 감사 가능한 수준의 배출 데이터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미국 SEC의 기후 공시 규정도 마찬가지입니다. 월말에 밤새 Excel 작업을 하는 방식으로는 이러한 규제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없습니다.
4. 협업의 어려움 : 사일로화된 데이터 관리
물류 ESG 관리는 혼자서는 할 수 없는 일입니다. 운송팀, 창고팀, 구매팀, 해외 지사... 모든 부서의 협력이 필요하죠. 그런데 Excel 파일을 이메일로 주고받는 방식으로는 효율적인 협업이 불가능합니다.
버전 관리의 악몽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탄소배출량_최종.xlsx", "탄소배출량_최종_진짜최종.xlsx", "탄소배출량_최종_진짜최종_수정본.xlsx"... 어떤 파일이 진짜 최신 버전인지 알 수 없는 상황이 반복됩니다. 😅
한 담당자가 수정한 내용이 다른 담당자의 파일에는 반영되지 않아, 같은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하는 일도 다반사입니다. 이런 비효율적인 프로세스 때문에 정작 중요한 탄소 감축 전략 수립에는 시간을 할애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5. 보고서 형식의 다양성 : 화주사마다 다른 요구사항
마지막으로, 가장 고통스러운 부분은 화주사마다 다른 보고서 양식입니다. A사는 GRI 기준을, B사는 CDP 형식을, C사는 자체 양식을 요구합니다. 같은 데이터를 가지고 수십 가지 다른 형식의 보고서를 만들어야 하는 것이죠.
특히 글로벌 기업과 거래하는 경우, 각 국가별 규제와 보고 기준을 모두 충족시켜야 합니다. 2025년 기준으로 국내 상위 30대 물류기업 중 85%가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라는 통계가 나온 것도 이런 현실적인 어려움 때문입니다.
매번 다른 형식으로 데이터를 재가공하고, 단위를 변환하고, 그래프를 그리는 작업... 이 모든 것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집니다. 한 글자라도 틀리면 전체 보고서를 다시 작성해야 하는 상황도 자주 발생합니다.
변화의 시작 : 디지털 전환이 답이다
이런 현실 속에서도 희망은 있습니다. Smart Freight Centre의 조사에 따르면, API 기반 탄소관리 시스템을 도입한 기업들은 평균 91% 시간 단축과 98.5% 정확도 향상을 경험했다고 합니다.
물류 ESG 담당자들이 더 이상 Excel 지옥에서 벗어나 본연의 업무인 지속가능한 물류 전략 수립에 집중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대합니다. 다음 편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GLEC API와 글로벌 표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탄소배출량 관련 상담 및 문의는 GLEC 홈페이지를 방문해주세요
https://glec.io/?utm_source=tistory&utm_medium=blog&utm_campaign=blog_event
GLEC - 친환경 물류 탄소배출 관리
글렉(GLEC)은 탄소배출을 수집·시각화·분석하는 플랫폼입니다.
glec.io
#물류ESG #탄소배출관리 #GLECFramework #지속가능물류 #ESG경영 #탄소중립 #물류디지털전환 #ISO14083 #CSRD #스마트물류
'주제 > 물류 ESG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G 시대, 물류업계가 풀어야 할 두가지 과제 (1) | 2025.09.15 |
---|---|
연간 12.7조원의 손실 - 화물차 사고가 물류산업에 미치는 영향 (1) | 2025.09.15 |
재활용 물류가 여는 연 20조원 미래시장 (2) | 2025.09.09 |
전기차 충전소가 만드는 지역 10만개 일자리 (2) | 2025.09.09 |
2025년 물류업계 새로운 10대 전문직 (0) | 2025.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