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제/해외사례

한국 수출기업 직격탄! EU 탄소국경세가 미치는 영향 심층 분석

by GLEC(글렉) 2025. 6. 24.

안녕하세요 물류&운송산업 탄소배출량 측정 전문기업 글렉입니다. 🌿

 

지난 1, 2편에서 EU 탄소국경세(CBAM)의 기본 개념과 세부 규정을 살펴봤다면, 이번에는 가장 중요한 실질적 영향을 분석해보겠습니다. 😰

 

"우리 회사는 얼마나 영향을 받을까?", "비용 부담은 어느 정도일까?", "경쟁력은 어떻게 변할까?"

이런 궁금증을 가지신 분들을 위해 구체적인 숫자와 데이터로 CBAM의 파급력을 분석해드릴게요! 📊


한국의 대EU 수출 현황 : 충격적인 규모! 💸

전체 영향 규모

2022년 기준 CBAM 대상 6개 품목의 한국 대EU 수출액을 보면 그 규모가 어마어마합니다 :

  • 총 수출액 : 54억 1,200만 유로 (약 7조 4,400억원) 💰
  • 대EU 전체 수출의 7.5% 차지
  • 영향 받는 기업 수 : 약 3,162개 기업

이는 단순히 숫자가 아니라 수많은 일자리와 기업의 생존이 걸린 문제예요!


업종별 상세 분석

1. 철강업계 : 최대 피해 예상 🏭

수출 규모

  • 대EU 수출액 : 48억 1,500만 유로 (약 6조 6,200억원)
  • 전체 CBAM 대상의 88.9% 차지
  • 연간 최대 3,300억원 추가 부담 예상

영향 받는 기업

  • 선철 관련 : 약 260개 기업
  • 철강제품 관련 : 약 2,265개 기업
  • 총 2,525개 기업이 직접 영향 받음

주요 대상 제품

  • 열연강판, 냉연강판, 후판
  • 스테인리스, 선재, 전기강판
  • 펠릿, DRI(직접환원철)
  • 페로니켈, 페로크롬, 페로망간
  • 강관, 볼트, 너트 등 가공제품

2. 알루미늄업계 : 두 번째 타격 ⚙️

수출 규모

  • 대EU 수출액 : 5억 9,000만 유로 (약 8,100억원)
  • 전체 CBAM 대상의 10.9% 차지

영향 받는 기업

  • 알루미늄괴 및 제품 관련 : 약 637개 기업

3. 기타 업종 📦

비료

  • 대EU 수출액 : 721만 4,000유로 (약 99억원)
  • 전체 CBAM 대상의 0.13%

시멘트

  • 대EU 수출액 : 약 100만 유로
  • 상대적으로 영향 미미

전력, 수소

  • 현재 수출 미미하나 향후 확대 시 영향 예상

비용 부담의 실체 : 얼마나 더 내야 할까? 💸

탄소가격 차이의 충격

현재 EU ETS와 K-ETS의 가격 차이가 엄청납니다 :

  • EU ETS : 73.35유로 (약 10만원/톤)
  • K-ETS : 6.69달러 (약 8,000원/톤)
  • 가격 차이 : 10배 이상! 😱

이 차이가 바로 우리 기업들이 추가로 부담해야 할 비용의 핵심이에요.


구체적 비용 계산 예시

철강제품 1톤 수출 시 (가정)

  • 탄소배출량 : 2톤 CO₂
  • EU에서 지불해야 할 비용 : 2톤 × 10만원 = 20만원
  • 한국에서 이미 지불한 비용 : 2톤 × 8,000원 = 1만 6,000원
  • 추가 부담 : 20만원 - 1만 6,000원 = 18만 4,000원

즉, 제품 1톤당 약 18만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요! 💰


업종별 예상 부담 규모

철강업계

  • 연간 최대 3,300억원 추가 부담
  • 대기업도 부담스럽지만 중소기업에는 치명적
  • 일부 기업은 EU 수출 포기 고려 중

알루미늄업계

  • 철강 대비 상대적으로 적지만 여전히 상당한 부담
  • 중소업체 비중이 높아 자금 압박 심각

경쟁력 변화 : 게임 체인저가 될까? ⚡

단기적 영향 (2026~2028년)

부정적 영향 😰

  1. 비용 경쟁력 약화
    • 추가 비용으로 인한 제품 가격 상승
    • EU 시장에서 경쟁력 저하
  2. 중소기업 타격
    • 인지 부족 : 78.3%가 CBAM을 모름
    • 전문 인력 부족
    • 컨설팅·검증 비용 부담
  3. 공급망 혼란
    • 바이어의 공급업체 변경 압박
    • 계약 조건 재협상 필요

일부 긍정적 변화 💪

  1. EU의 간소화 정책
    • EU 기업 80% 면제 고려 중
    • 중소기업 부담 완화 방향
  2. 기술 혁신 가속화
    • 저탄소 기술 개발 투자 증가
    • 친환경 공정 도입 확산

장기적 영향 (2030년 이후)

위기를 기회로! 🚀

  1. 녹색 기술 선도 기업 부상
    • 탄소배출량 감축 기술 확보한 기업의 경쟁력 강화
    • 새로운 시장 기회 창출
  2. 공급망 재편
    • 저탄소 공급망 구축한 기업이 선택받음
    • 탄소발자국 관리 역량이 핵심 경쟁력으로
  3. 글로벌 탄소 규제 확산
    • 미국, 영국, 호주 등도 유사 제도 도입 예정
    • 한번 구축한 시스템으로 다른 시장도 대응 가능

업종별 세부 대응 현황 🔍

철강업계 : 포스코 등 대기업 중심 대응

포스코그룹의 대응

  •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
  • 저탄소 철강 생산공법 연구
  • 탄소배출량 측정·관리 시스템 구축

중소 철강업체의 어려움

  • 기술 개발 자금 부족
  • 전문 인력 부족
  • 대기업과의 협력 필수

알루미늄업계 : 생존 전략 모색

주요 대응 방안

  •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 공정 효율성 개선
  • 재활용 알루미늄 비중 증대

중소기업 공통 과제

  1. 인지도 문제 😱
    • 78.3%가 CBAM을 모름
    • 54.9%가 특별한 대응계획 없음
  2. 역량 부족
    • 탄소배출량 측정·보고·검증(MRV) 체계 파악 : 21.1%만
    • 전문 인력 부족
    • 자금 부족
  3. 정부 지원 확대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 44억원 예산으로 185개사 지원
    • 디지털 MRV 솔루션 보급 사업
    • 업종별 특화 지원 프로그램

간접 영향 : 파급효과는 더 클 수도 📈

전후방 산업 영향

철강 관련

  • 자동차 산업 : 철강 가격 상승으로 비용 증가
  • 조선 산업 : 선박 제조 비용 증가
  • 건설 산업 : 건설자재 비용 상승

에너지 산업

  • 전력 부문 : 간접배출 포함 시 추가 부담
  • 화학 산업 : 향후 확대 대상으로 사전 준비 필요

금융 부문 영향

은행권 리스크 관리

  • 대출 심사 시 CBAM 대응 역량 고려
  • 탄소배출량 데이터베이스 구축 필요
  • ESG 금융 상품 확대

투자 부문

  • 글로벌 투자기관들이 탄소가격 상승을 포트폴리오에 반영
  • 친환경 기업에 대한 투자 확대
  • 고탄소 기업에 대한 투자 회피

지역별 영향도 분석 🗺️

수도권 vs 지방

수도권 (서울, 인천, 경기)

  • 대기업 본사 중심의 체계적 대응
  • 전문 인력 및 컨설팅 접근성 양호

지방 산업단지

  • 포항, 광양 등 철강 중심지 직격탄
  • 울산, 여수 등 화학 단지도 향후 영향
  • 지역 경제 전반에 큰 타격 우려

중소기업 집적지역

특히 영향이 큰 지역

  • 경남 창원 : 기계부품 제조업체
  • 부산 : 선박용 철강부품
  • 경북 포항 : 철강 관련 중소업체

향후 확대 예정과 추가 영향 ⚠️

품목 확대 계획

2026년 이후 추가될 가능성이 높은 품목들 :

  • 유기화학물질 : 연간 14억9천만달러 수출
  • 플라스틱 : 연간 40억1천만달러 수출 (최대 타격 예상)
  • 암모니아

품목 확대 시 전체 영향 규모는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요! 😱

간접배출 확대

현재는 일부 품목만 간접배출(전력 사용) 포함이지만, 향후 모든 품목으로 확대되면 :

  • 한국의 높은 전력 탄소집약도로 인한 추가 부담 급증
  • 재생에너지 전환이 더욱 시급한 과제로

마무리하며 💭

EU 탄소국경세는 단순한 무역 규제를 넘어 한국 제조업의 근본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철강업계를 중심으로 한 중화학공업에는 생존을 위한 전환점이 될 수 있어요.

 

하지만 위기는 곧 기회이기도 합니다! 지금부터 체계적으로 준비하는 기업들은 오히려 새로운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거예요. 💪

 

다음 편에서는 이런 도전을 기회로 바꿀 수 있는 구체적인 대응 전략들을 살펴보겠습니다. 탄소배출량 측정부터 인증 획득, 공급망 관리까지 실무진들이 당장 실행할 수 있는 실전 가이드를 제공해드릴게요! 🎯

 

지금이 바로 행동할 때입니다. 준비된 기업만이 2026년 이후에도 EU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어요!


#EU탄소국경세 #CBAM #한국기업영향 #철강업계 #알루미늄 #비용부담 #경쟁력분석 #중소기업 #탄소배출량 #글렉 #GLEC


탄소배출량 관련 상담 및 문의는 GLEC 홈페이지를 방문해주세요

https://glec.io/

 

GLEC - 친환경 물류 탄소배출 관리

탄소 감축을 이끄는 물류 AI의 표준, GLEC GLEC AI는 화물차량의 IoT 장비(디지털 운행기록장치, 로드셀, 연료 수집기기 등)로부터 운행 거리, 속도, 연료 소모, 무게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합니다.

glec.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