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제/ESG 기관

TCFD 공시를 위한 데이터 수집과 목표 설정 - 90%가 틀리는 측정의 비밀

by GLEC(글렉) 2025. 8. 8.

안녕하세요 물류&운송산업 탄소배출량 측정 전문기업 글렉입니다. 🚛

 

"숫자로 말하지 못하면 관리할 수 없다" - 피터 드러커

드디어 TCFD 완전정복 시리즈의 마지막 편에 도달했습니다. 지금까지 이론과 체계를 다뤘다면, 이번 편은 실제 TCFD 공시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는 실무 가이드입니다.

 

딜로이트 2025년 조사에 따르면, TCFD 공시를 시도한 기업 중 90%가 데이터 수집과 지표 설정에서 실패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을, 어떻게, 언제까지" 측정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알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

 

오늘은 이 문제를 완전히 해결해드리겠습니다. 실제 엑셀 템플릿과 계산 공식까지 포함해서요! 🚀


📊 TCFD 핵심 지표(KPI) 체계 완전 분석

Tier 1 : 필수 공시 지표 🎯

재무적 지표 (Financial Metrics)

1. 기후 관련 비용 및 수익

측정 공식:
기후 관련 비용 비율 = (탄소세 + 배출권 구매비 + 기후 적응 비용) / 총 매출 × 100

목표 수준:
- 2025년: 3% 이하
- 2027년: 2% 이하  
- 2030년: 1% 이하

측정 세부 항목 💰

  • 탄소세 : 연료 사용량 × 탄소세율
  • 배출권 구매 : 초과 배출량 × 배출권 가격
  • 기후 적응 비용 : 방재 시설 + 보험료 + 대체 인프라
  • 친환경 수익 : ESG 프리미엄 + 신재생 에너지 판매 + 탄소 크레딧 수익

2. 기후 관련 자산 및 부채

좌초 자산 비율 = 탄소 집약적 자산 / 총 자산 × 100

포함 자산:
- 노후 디젤 차량 (Euro 5 이하)
- 화석연료 의존 시설
- 탄소 집약적 IT 시스템

 

물리적 지표 (Physical Metrics)

1. 온실가스 배출량 (핵심 지표) (물류분야는 GLECFramework 계산 방법을 따라야 합니다)

Scope 측정 범위 계산 방법 보고 주기

Scope 측정 범위 계산 방법 보고 주기
Scope 1 직접 배출 연료 사용량 × 배출계수 월간
Scope 2 간접 배출 (전력) 전력 사용량 × 전력 배출계수 월간
Scope 3 가치사슬 배출 15개 카테고리별 개별 계산 분기

Scope 1 세부 계산법

연료별 배출량 계산:

디젤: 사용량(L) × 2.68 kgCO2/L
휘발유: 사용량(L) × 2.31 kgCO2/L  
LPG: 사용량(L) × 1.51 kgCO2/L
CNG: 사용량(Nm³) × 2.75 kgCO2/Nm³

월간 총 배출량 = Σ(연료별 배출량)

 

Scope 3 카테고리별 계산법 🔄

카테고리 물류업 적용 계산 방법 데이터 수집처

2. 에너지 효율성

연료 효율성 = 총 운송거리(km) / 총 연료 사용량(L)

목표:
- 2025년: 5.0 km/L
- 2027년: 5.5 km/L  
- 2030년: 6.0 km/L

 

3. 재생에너지 비율

재생에너지 비율 = 재생에너지 사용량 / 총 에너지 사용량 × 100

목표:
- 2025년: 20%
- 2027년: 50%
- 2030년: 100%

Tier 2 : 고도화 지표 📈

운영 효율성 지표

1. 탄소 집약도

탄소 집약도 = 총 온실가스 배출량(tCO2e) / 매출액(억원)

벤치마크:
- 업계 평균: 0.8 tCO2e/억원
- 선도 기업: 0.4 tCO2e/억원
- 목표 수준: 0.3 tCO2e/억원 (2030년)

2. 운송 효율성

운송 집약도 = 총 온실가스 배출량(tCO2e) / 총 운송량(ton·km)

세부 지표:
- 차량별 집약도
- 노선별 집약도  
- 화물별 집약도

 

혁신 지표

1. 친환경 차량 비율

친환경 차량 비율 = (전기차 + 하이브리드 + 수소차) / 총 차량 수 × 100

목표:
- 2025년: 30%
- 2027년: 60%
- 2030년: 90%

2. 디지털화 수준

디지털 최적화율 = AI 최적화 적용 운송량 / 총 운송량 × 100

측정 항목:
- 경로 최적화 적용률
- 실시간 모니터링률
- 예측 정비 적용률

🔧 데이터 수집 체계 구축 실무 가이드

단계별 데이터 수집 시스템 📊

1단계 : 기존 데이터 현황 파악 (1주차)

데이터 인벤토리 체크리스트

차량 운행 데이터

  • [ ] 일일 운행거리 (GPS 데이터)
  • [ ] 연료 사용량 (주유 기록)
  • [ ] 화물 중량 및 부피
  • [ ] 운전자별 운행 패턴

시설 운영 데이터

  • [ ] 월간 전력 사용량 (한전 고지서)
  • [ ] 도시가스 사용량 (가스공사 데이터)
  • [ ] 용수 사용량
  • [ ] 폐기물 배출량

비즈니스 데이터

  • [ ] 고객별 운송량/거리
  • [ ] 노선별 수익성
  • [ ] 차량별 가동률
  • [ ] 정비 이력 및 비용

2단계 : 자동화 시스템 구축 (2-4주차)

IoT 센서 기반 실시간 수집 📡

차량 IoT 시스템

필수 센서:
- GPS: 위치/속도/거리
- OBD-II: 연료 소비/엔진 상태
- 온도: 냉장/냉동차 온도 모니터링
- 중량: 적재 중량 측정

데이터 전송: 5분 간격
저장 형식: CSV/JSON
보관 기간: 7년 (TCFD 요구사항)

시설 모니터링 시스템

스마트 미터링:
- 전력: 15분 간격 사용량
- 가스: 1시간 간격
- 용수: 1시간 간격

환경 센서:
- 온도/습도
- 미세먼지 농도
- 소음 수준

 

3단계 : 데이터 통합 플랫폼 (5-8주차)

MRV(측정·보고·검증) 시스템 구축 🖥️

데이터베이스 설계

-- 차량 배출량 테이블
CREATE TABLE vehicle_emissions (
    vehicle_id VARCHAR(20),
    date DATE,
    fuel_type VARCHAR(10),
    fuel_consumption DECIMAL(10,2),
    distance_km DECIMAL(10,2),
    emission_scope1 DECIMAL(10,2),
    created_at TIMESTAMP
);

-- 월간 집계 테이블  
CREATE TABLE monthly_summary (
    month DATE,
    total_scope1 DECIMAL(15,2),
    total_scope2 DECIMAL(15,2), 
    total_scope3 DECIMAL(15,2),
    revenue DECIMAL(15,2),
    intensity DECIMAL(10,4)
);

 

API 연동 시스템

# 기상청 날씨 데이터 연동
import requests

def get_weather_data(date, location):
    api_key = "YOUR_API_KEY"
    url = f"http://apis.data.go.kr/1360000/VilageFcstInfoService_2.0/getVilageFcst"
    params = {
        'serviceKey': api_key,
        'base_date': date,
        'base_time': '0500',
        'nx': location['nx'],
        'ny': location['ny']
    }
    
    response = requests.get(url, params=params)
    return response.json()

# 배출계수 자동 업데이트
def update_emission_factors():
    # 온실가스 인벤토리 최신 계수 다운로드
    # 자동으로 계산 시스템에 반영
    pass

데이터 품질 관리 체계 🔍

4단계 : 검증 및 품질 관리 (지속적)

자동 검증 규칙

# 데이터 이상치 탐지
def validate_data(vehicle_data):
    errors = []
    
    # 연비 이상치 체크
    if vehicle_data['efficiency'] > 15 or vehicle_data['efficiency'] < 2:
        errors.append("연비 이상치 감지")
    
    # 일일 운행거리 체크  
    if vehicle_data['daily_km'] > 1000:
        errors.append("일일 운행거리 과다")
    
    # 연료 소비량 체크
    if vehicle_data['fuel_consumption'] < 0:
        errors.append("연료 소비량 음수")
        
    return errors

월간 데이터 감사

  • 완전성 : 데이터 누락 여부 (목표 98% 이상)
  • 정확성 : 계산 오류 점검 (목표 99% 이상)
  • 일관성 : 전월 대비 급격한 변화 검토
  • 적시성 : 보고 기한 준수 (월 마감 후 3일 이내)

🎯 감축 목표 설정 및 로드맵 작성

과학 기반 목표(SBTi) 설정 방법론 🧪

1.5°C 시나리오 기반 감축 경로

물류업계 SBTi 계산법

연간 감축률 = (1 - (2030년 목표 / 2020년 기준))^(1/10) - 1

예시:
2020년 기준: 10,000 tCO2e
2030년 목표: 4,200 tCO2e (58% 감축)
연간 감축률: (1 - 0.42)^0.1 - 1 = 8.7%/년

 

Scope별 목표 설정

Scope 2025년 2027년 2030년 감축 수단
Scope 1 -25% -45% -70% 전기차 전환
Scope 2 -50% -80% -100% 재생에너지
Scope 3 -15% -30% -50% 공급망 관리

 

2단계 : 세부 실행 계획 수립

연도별 마일스톤

2025년 목표 달성 계획 📅

Scope 1 감축 (25% 목표):
- Q1: 전기차 50대 도입 → 5% 감축
- Q2: 바이오디젤 20% 혼합 → 8% 감축  
- Q3: 에코드라이빙 교육 → 7% 감축
- Q4: 차량 노후 교체 → 5% 감축
총계: 25% 감축 달성

투자 계획 및 예산

총 투자 예산: 100억원 (3년간)

배분:
- 전기차 구매: 60억원 (60%)
- 충전 인프라: 20억원 (20%)  
- 시설 개선: 15억원 (15%)
- 시스템 구축: 5억원 (5%)

부서별 목표 할당 체계 👥

운송팀 목표

핵심 KPI:
- 차량별 연비 개선: 월 1%씩 향상
- 에코드라이빙 점수: 평균 85점 이상
- 공차 운행률: 15% 이하 유지

인센티브:
- 목표 달성 시 팀 보너스 500만원
- 개인별 연비 1위 월 50만원
- 무사고 달성 시 분기 300만원

시설팀 목표

핵심 KPI:  
- 전력 사용량: 월 3% 감축
- 재생에너지 비율: 연 10%p 증가
- 에너지 효율성: 연 5% 개선

실행 계획:
- LED 조명 교체: 6개월 완료
- 태양광 설치: 12개월 완료  
- 스마트 미터링: 3개월 완료

고객팀 목표

핵심 KPI:
- ESG 서비스 매출: 분기 20% 증가
- 고객 만족도: 90% 이상 유지
- 친환경 배송 비율: 월 5%p 증가

마케팅 전략:
- 탄소중립 배송 인증서 발급
- ESG 뉴스레터 월간 발송
- 고객사 ESG 교육 분기별 실시

📋 TCFD 공시 보고서 작성 실무

보고서 구조 및 필수 내용 📝

Section 1: 지배구조 (2-3페이지)

이사회 감독 체계

작성 템플릿:

1. 이사회 구성 및 역할
"당사 이사회는 총 7명으로 구성되며, 이 중 1명은 환경·에너지 전문가입니다. 
이사회는 분기별로 기후변화 대응 현황을 보고받으며, 연간 ESG 전략과 
예산을 승인합니다."

2. 기후 관련 의사결정 프로세스  
"중요한 기후 관련 투자(10억원 이상)는 ESG위원회 검토 후 이사회 승인을 
받습니다. 일반적인 운영 사항은 CEO가 위임받아 결정합니다."

3. 성과 평가 연계
"CEO 및 임원 성과평가의 20%는 ESG 지표로 구성되며, 탄소 감축 목표 
달성도가 주요 평가 기준입니다."

 

Section 2: 전략 (3-4페이지)

시나리오 분석 결과

필수 포함 내용:

1. 적용 시나리오 설명
- 1.5°C 시나리오: IEA Net Zero 2050 기준
- 2°C 시나리오: IEA STEPS 기준  
- 3°C 시나리오: 현재 정책 기준

2. 재무적 영향 분석
"1.5°C 시나리오에서 2030년까지 예상되는 총 투자비는 100억원이며, 
연간 운영비 절감 효과는 20억원으로 분석됩니다."

3. 사업 기회 및 위험
- 위험: 탄소세 도입으로 연간 5억원 추가 비용
- 기회: 친환경 물류 시장에서 연간 30억원 신규 매출

 

Section 3: 위험관리 (2-3페이지)

위험 식별 및 평가 프로세스

작성 예시:

"당사는 기후 관련 위험을 물리적 위험과 전환 위험으로 분류하여 
관리합니다. 

물리적 위험:
- 급성: 태풍, 집중호우 (발생확률: 연 3-4회, 영향도: 높음)
- 만성: 기온 상승, 해수면 상승 (발생확률: 지속적, 영향도: 중간)

전환 위험:  
- 정책: 탄소세, 배출권거래제 (발생확률: 높음, 영향도: 높음)
- 기술: 전기차 전환 압박 (발생확률: 높음, 영향도: 중간)
- 시장: ESG 요구 증가 (발생확률: 높음, 영향도: 낮음)"

 

Section 4: 지표 및 목표 (4-5페이지)

핵심 지표 현황 및 목표

온실가스 배출량 테이블

|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목표 | 2030년 목표 |
|------|--------|--------|--------|-------------|-------------|
| Scope 1 | 8,500 | 8,200 | 7,800 | 6,375 | 2,550 |
| Scope 2 | 1,200 | 1,100 | 1,000 | 600 | 0 |
| Scope 3 | 12,000 | 11,800 | 11,500 | 9,775 | 6,000 |
| 총계 | 21,700 | 21,100 | 20,300 | 16,750 | 8,550 |

* 단위: tCO2e
* Scope 3는 카테고리 1,4,6,7,9만 포함

감축 목표 및 달성 계획

"당사는 2030년까지 2020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60% 감축하는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이는 과학기반목표(SBTi) 1.5°C 경로와 일치합니다.

주요 감축 수단:
1. 차량 전기화: 2030년까지 80% 전환 (Scope 1의 70% 감축)
2. 재생에너지: 2027년까지 100% 전환 (Scope 2의 100% 감축)  
3. 공급망 관리: 협력업체 ESG 평가 강화 (Scope 3의 30% 감축)"

검증 및 보증 체계

제3자 검증 프로세스

검증 범위 및 수준

Limited Assurance (제한적 보증):
- Scope 1, 2: 2024년부터 적용
- 검증 기준: ISO 14064-3
- 검증기관: Big 4 회계법인 또는 전문 인증기관

Reasonable Assurance (합리적 보증):  
- Scope 1, 2: 2027년부터 적용
- Scope 3: 2030년부터 제한적 보증 적용

 

내부 품질관리 체계

1차 검토: 데이터 담당자 (월간)
2차 검토: ESG팀장 (분기)  
3차 검토: CFO (반기)
최종 승인: CEO (연간)

검토 항목:
- 데이터 완전성 (누락 여부)
- 계산 정확성 (공식 및 계수)
- 전년 대비 변동성 (±20% 초과 시 상세 검토)
- 벤치마크 비교 (동종업계 평균 대비)

🏆 성공 사례 : 글로벌 우수 기업 벤치마킹

UPS의 데이터 기반 탄소 관리 📦

ORION 시스템 기반 측정

  • 실시간 데이터 수집 : 차량 55,000대에서 분당 데이터 수집
  • AI 최적화 : 경로 최적화로 연간 1억 마일 단축
  • 정확한 측정 : ±2% 이내 배출량 측정 정확도

성과 지표 체계

Tier 1 KPI (CEO 직접 관리):
- 총 탄소 배출량 (월간)
- 탄소 집약도 (분기)  
- 친환경 차량 비율 (분기)

Tier 2 KPI (부서별 관리):
- 노선별 효율성 (주간)
- 운전자별 에코스코어 (일간)
- 시설별 에너지 사용량 (일간)

DHL의 GoGreen 프로그램 🌱

측정 체계의 진화

  • 2008년 : 기본적 배출량 측정 시작
  • 2015년 : Scope 3 측정 체계 구축
  • 2020년 : 실시간 탄소 추적 시스템 완성
  • 2024년 : 고객별 배출량 실시간 제공

목표 달성 성과

2030년 목표 vs 현재 성과 (2024년 기준):

제로 배출 목표:
- 계획: 2030년 100% 전기 차량
- 현재: 40% 달성 (29,000대 중 11,600대)

효율성 목표:  
- 계획: 2025년까지 30% 효율성 개선
- 현재: 28% 달성 (목표 대비 93%)

재생에너지 목표:
- 계획: 2025년 100% 재생에너지  
- 현재: 78% 달성

🚀 즉시 실행 가능한 엑셀 템플릿 & 도구

배출량 계산 엑셀 템플릿 📊

Scope 1 계산 시트

열 구성:
A: 날짜 (YYYY-MM-DD)
B: 차량번호
C: 연료종류 (디젤/휘발유/LPG)  
D: 연료사용량(L)
E: 배출계수 (자동계산)
F: 배출량 (D×E)
G: 운행거리(km)
H: 연비(G/D)

공식 예시:
E2: =IF(C2="디젤",2.68,IF(C2="휘발유",2.31,1.51))
F2: =D2*E2
H2: =IF(D2>0,G2/D2,"")

월간 집계:
=SUMIFS(F:F,A:A,">="&DATE(2024,1,1),A:A,"<"&DATE(2024,2,1))

Scope 3 계산 시트

카테고리별 시트 구성:

Cat.1 구매 시트:
A: 구매일자
B: 품목명  
C: 구매금액(원)
D: 배출계수(kgCO2e/원)
E: 배출량(C×D)

Cat.4 상류운송 시트:
A: 운송일자
B: 출발지
C: 도착지
D: 운송량(ton)
E: 거리(km)  
F: 배출량(D×E×0.062 kgCO2e/ton-km)

목표 관리 대시보드 📈

KPI 추적 템플릿

월간 성과 대시보드:

1. 핵심 지표 요약
- 월간 배출량: =SUM(배출량데이터!F:F)
- 목표 대비: =실제배출량/월간목표-1
- 전년 동월 대비: =실제배출량/전년동월-1

2. 시각화 차트
- 월별 추이: 선 그래프
- 목표 대비 달성률: 게이지 차트  
- Scope별 구성비: 파이 차트

3. 알림 기능
- 목표 미달성 시: 빨간색 표시
- 전년 대비 증가 시: 노란색 표시
- 목표 초과 달성 시: 파란색 표시

자동화 매크로 🤖

월간 보고서 자동 생성

Sub Generate_Monthly_Report()
    Dim ws As Worksheet
    Dim current_month As Date
    
    current_month = DateSerial(Year(Now), Month(Now), 1)
    
    ' 데이터 집계
    Call Calculate_Scope1(current_month)
    Call Calculate_Scope2(current_month)  
    Call Calculate_Scope3(current_month)
    
    ' 차트 업데이트
    Call Update_Charts()
    
    ' 보고서 생성
    Call Create_Report(current_month)
    
    MsgBox "월간 보고서가 생성되었습니다."
End Sub

🎯 실무진을 위한 최종 체크리스트

데이터 수집 체계 점검

시스템 구축 (4주)

  • [ ] 차량별 연료 사용량 실시간 수집 시스템
  • [ ] 시설별 전력/가스 사용량 월간 자동 집계
  • [ ] Scope 3 데이터 수집을 위한 협력업체 연동
  • [ ] 데이터 검증 및 품질관리 프로세스

인력 및 조직 (2주)

  • [ ] 데이터 수집 담당자 지정 (부서별 1명 이상)
  • [ ] 월간 데이터 리뷰 미팅 체계 구축
  • [ ] 외부 검증기관 선정 및 계약
  • [ ] 임직원 교육 프로그램 실시

목표 설정 및 관리 (3주) 🎯

목표 수립

  • [ ] 2030년 장기 목표 설정 (SBTi 기준)
  • [ ] 연도별 중간 목표 설정
  • [ ] 부서별/개인별 목표 할당
  • [ ] 달성 시 인센티브 체계 구축

모니터링 체계

  • [ ] 월간 KPI 대시보드 구축
  • [ ] 분기별 성과 리뷰 체계
  • [ ] 목표 미달성 시 개선 계획 프로세스
  • [ ] 연간 목표 수정 및 조정 절차

공시 준비 (6주) 📋

보고서 작성

  • [ ] TCFD 4개 영역별 콘텐츠 작성
  • [ ] 정량적 데이터 및 정성적 설명 균형
  • [ ] 내부 검토 및 승인 프로세스 완료
  • [ ] 제3자 검증 완료 및 검증서 첨부

이해관계자 소통

  • [ ] 투자자 대상 ESG IR 자료 준비
  • [ ] 고객사 대상 ESG 성과 공유
  • [ ] 언론 및 미디어 대응 계획
  • [ ] 웹사이트 및 SNS 공시 계획

🏁 마무리 : TCFD 완전정복을 위한 최종 메시지

5편에 걸친 "물류업계를 위한 CDP 완전정복" 시리즈가 마무리되었습니다. 🎉

우리는 함께 다음 내용을 살펴봤습니다:

  • 1편 : TCFD의 기본 개념과 물류업계 영향
  • 2편 : 효과적인 지배구조 및 조직 체계 구축
  • 3편 :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과 전략 수립
  • 4편 : 체계적인 기후 리스크 관리 방법
  • 5편 : 실무적인 데이터 수집과 목표 설정

이제 여러분은 TCFD 전문가입니다! 💪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실행입니다. 완벽한 계획을 기다리기보다는, 지금 당장 첫 발을 내딛는 것이 성공의 비밀입니다.

"천리길도 한 걸음부터" - 오늘부터 시작하는 기업이 2030년의 승자가 될 것입니다. 🚀

다음 주부터 바로 시작하세요!

  1. 1주차 : 현재 배출량 측정 시작
  2. 2주차 : 목표 설정 및 계획 수립
  3. 3주차 : 조직 체계 및 프로세스 구축
  4. 4주차 : 첫 번째 월간 보고서 작성

여러분의 TCFD 여정을 응원합니다! 🌟


탄소배출량 관련 상담 및 문의는 GLEC 홈페이지를 방문해주세요

https://glec.io/?utm_source=tistory&utm_medium=blog&utm_campaign=blog_event

 

GLEC - 친환경 물류 탄소배출 관리

GLEC은 물류 탄소배출을 국제표준으로 관리하고, 글로벌 인증과 검증이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제 물류 탄소배출 측정부터 데이터 분석, 보고서 생성까지 한번에, 쉽게 시작하세요!

glec.io

 

#TCFD지표 #탄소측정 #배출량계산 #ESG목표설정 #데이터수집 #공시보고서 #MRV시스템 #과학기반목표 #탄소회계 #지속가능성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