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제/국내 사례

국내 ESG 공시 의무화 완전 정리 - 2025년부터 달라지는 것들

by GLEC(글렉) 2025. 6. 25.

안녕하세요 물류&운송산업 탄소배출량 측정 전문기업 글렉입니다.

 

드디어 국내 ESG 공시 의무화의 윤곽이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2025년 한 해 동안 기업들이 본격적인 준비에 나서야 하는 시점이 다가왔는데요, 과연 우리나라 ESG 공시 의무화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을까요?


ESG 공시 의무화란 무엇인가요?

ESG 공시 의무화는 기업이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 관련 성과와 활동을 의무적으로 공개하는 제도입니다. 지금까지는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해왔지만, 앞으로는 법적 의무사항이 되는 것이죠.

 

이 제도의 핵심 목적은 투자자와 소비자의 알 권리 확대, 기업의 ESG 경영 실천 촉진, 글로벌 투자 기준에 맞는 투명성 확보, 그리고 지속가능한 기업 생태계 조성입니다.


국내 ESG 공시 의무화 추진 현황

현재 한국회계기준원 산하 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에서 ESG 공시 기준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금융위원회가 주도하는 이 제도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의 글로벌 기준에 맞춰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4년 4월 말에 공개된 ESG 공시 가이드라인 초안이 2025년 상반기 중 최종 확정될 예정이었으나 기업부담등을 고려하여 2026년으로 연기되었습니다. 기업들은 추후 확정되는 가이드라인에 따라 2026년부터 본격적인 ESG 경영 활동을 시작해야 합니다.


핵심 일정표 : 언제부터 시작되나요?

2025년 ESG 공시 가이드라인 초안 공개 및 기업 준비 기간으로 설정되었습니다.

2026년 자산 총액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를 대상으로 의무화가 시작됩니다. 약 125개 대기업이 첫 번째 적용 대상이며, 2025년 데이터를 바탕으로 첫 번째 공시를 진행하게 될것으로 예상됩니다.

2030년 전체 코스피 상장사로 확대되어 모든 코스피 상장기업이 의무 공시 대상이 됩니다.

이는 기존 계획보다 1년 연기된 일정입니다. 원래는 2025년부터 시작할 예정이었지만, 기업들의 준비 기간 부족 우려로 인해 2026년으로 조정되었습니다.


왜 지금 ESG 공시가 중요할까요?

글로벌 투자 환경이 완전히 바뀌고 있습니다. 투자자 관점에서 ESG 정보가 투자 의사결정의 핵심 요소로 부상했고, 책임투자 확산으로 ESG 성과가 곧 기업 가치로 직결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규제도 강화되고 있습니다. EU CSRD(기업지속가능성보고지침)가 2025년 시행되며, 미국과 일본 등 주요국도 기후공시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공급망 측면에서도 압박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글로벌 기업들의 협력사 ESG 요구가 증가하면서,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기업들의 대응이 필수가 되었습니다.


기업들은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을까요?

현실적으로 많은 기업들이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인협회 조사에 따르면, 61.1%의 기업이 "모호한 공시 개념과 명확한 기준 부재"를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았습니다. 대기업 절반 이상이 2028년 이후 시행을 선호하며, 데이터 확보, 인력 부족, 법률 리스크 등이 주요 우려사항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ESG 자율 공시 기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2년 131개에서 2023년 161개, 2024년 203개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기업들의 관심과 준비 의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업이 준비해야 할 것들

1단계 : 현황 파악 자사의 ESG 현황 진단, 공시 의무화 적용 시기 확인, 내부 역량 및 자원 점검이 필요합니다.

2단계 : 체계 구축 ESG 전담 조직 구성,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시스템 준비, 임직원 교육 및 인식 개선을 진행해야 합니다.

3단계 : 목표 설정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ESG 목표 수립, 단계별 실행 계획 마련, 성과 측정 지표 개발이 필요합니다.


마무리 : 준비는 지금부터

ESG 공시 의무화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2025년 한 해가 기업들에게는 골든타임이 될 것 같습니다. 미리 준비하는 기업일수록 향후 경쟁력에서 앞서갈 수 있을 것입니다.

 

다음 편에서는 업종별 상세 적용 시기와 로드맵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우리 회사는 언제부터 적용되는지, 어떤 준비가 필요한지 구체적으로 확인해보세요.


#ESG공시의무화 #지속가능경영 #ESG경영 #탄소배출량 #환경경영 #ESG컨설팅 #지속가능성보고서 #기업공시 #ESG전략 #친환경경영


탄소배출량 관련 상담 및 문의는 GLEC 홈페이지를 방문해주세요

https://glec.io/

 

GLEC - 친환경 물류 탄소배출 관리

탄소 감축을 이끄는 물류 AI의 표준, GLEC GLEC AI는 화물차량의 IoT 장비(디지털 운행기록장치, 로드셀, 연료 수집기기 등)로부터 운행 거리, 속도, 연료 소모, 무게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합니다.

glec.io